섹션

4대강 복원 기술 세계 최고

이명박 대통령은 27일‘대통령과의 대화’에서 4대강 사업이 수질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지적에 “ 30~40년 전이라면 그럴 수 있다 하지만 지금 대한민국의 강 복원 기술은 세계 최고 설계와 건설 수준”이라고 답했다.

이어“21세기 대한민국의 수준에서 보를 만들어 수질이 나빠지면 그거 일이라고 하겠느냐”며, “반대하는 분들도 상당히 알고 있으면서도 반대한다”며 4대강 사업 반대가 ‘반대를 위한 반대’라는 평소 생각을 토로했다.

이날 진행자 권재홍 앵커가 시화호와 청계청의 예를 들어 미래 세대에까지 영향을 끼치는 사업인 만큼 신중해야 하지 않는가”라고 질문하자, 이 대통령은 4대강 사업에 대해서는 최첨단 기술로 지속적으로 수질 개선을 할 것과 지난 대통령(김대중, 노무현 대통령)들도 추진한 사업임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한강 복원을 예로 들며 “한강도 잠실과 김포 신곡에 보를 양쪽에 만들어 물을 가뒀는데 지금 물이 썩고 있지 않다며 “지금 보를 만들면 한 단계 더 높은 IT 기술을 갖고 하기 때문에 단순히 기술이 모자라 수질이 나빠질 것이라는 말은 지금 이 시점에 맞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로봇 물고기로 수질 측정을 상시적으로 하는 하이테크놀로지를 영상으로 설명하며,한국의 수질개선 기술력을 강조하기도 했다.

4대강 사업에 22조원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다는 비판과 관련해서는,“과거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서도 수해방지를 위해 정비 사업을 기획 했고, 각각 43조원, 87조원을 들이는 규모였으며,그때는 아무도 반대를 안했다”고 서운한 감정을 비췄다.

또한 4대강 사업을 반대하며 관련 예산을 복지 분야에 써야 한다는 주장은 포퓰리즘이라고 반박했다.

이 대통령은 4대강 사업은 녹색성장의 핵심으로“정부가 제대로 계획을 세워서 예산을 절감하고 일을 완성시키면 국민들이 완공 후 평가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