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내년 초 '출구전략 지침'을 발간하는 등, '출구 전략'을 본격적으로 다룰 뜻을 내비쳤다.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 IMF 총재는 지난 3일 미국 워싱턴 본부에서 가진 회의 성명에서 “경기회복세가 자리 잡으면 선진국들이 재정 정책을 조정토록 하는 지침을 담은 이사회 보고서가 내달 발간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와함께 관련 세금 정책 등 더 많은 제안이 내년 4월의 IMF-세계은행 봄철 연차총회 이전에 마련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레자 모하담 IMF 기획정책 담당 국장도 이날 IMF 사이트에“이와관련해 이제 세계 회복 조짐이 가시화됨에 따라 IMF의 정책 기조가 그간의 위기 대응에서 사후 관리 쪽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IMF의 정책기조 선회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와 유럽중앙은행(ECB) 수장들이 출구 전략 쪽에 비중을 두기 시작한 것과 때를 같이 하고 있다.
장-클로드 트리셰 ECB 총재는 3일 내년에는 긴급 재정 프로그램을 축소할 것이라고 밝혔으며,벤 버냉키 FRB 의장도 “7천억달러의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TARP)을 거둬들이는 것이 합당”하다고 밝혔다.
IMF는 이날 밝힌 향후 6개월간의 추진 업무 가운데서 체계적이고 협조적인 출구전략 제시를 최우선 과제로꼽았다.
IMF 관계자들은 성장세 회복이 IMF로 하여금 책임을 재고토록 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면서 지난 10월 소집된 IMF 조정위원회에서도 같은 결론이 내려졌다고 말했다.
IMF는 “세계 각국이 금융시스템을 안정시키고 경기침체를 피하기 위해 쏟아부었던 과도한 유동성을 회수하는 전략을 개발하도록 도울 것”이라 밝혔다.
한편,스트로스 칸 총재는 "개별국이 스스로의 안전 장치로 각자 외화를 축적하는 것을 피하도록 하기 위해 '외화 풀'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으며,"신흥국의 IMF내 입지를 높이기로 한 G20 합의가 내년 4월까지 실행에서 "큰 진전"을 이루길 기대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