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은 미국경제의 섣부른 낙관론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해다.
버냉키 의장은 7일 워싱턴 이코노믹 클럽 연설에서 "경기회복세가 스스로 지속해 나갈 것으로 확신하기까지는 아직 가야할 길이 남아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어 "경기회복이 내년까지는 계속되겠지만 취약한 고용시장과 위축된 소비심리, 여전히 경색된 신용사정 등으로 완만한 속도에 그칠 것"이라며 "미국 경제는 만만치 않은 역풍에 직면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경기회복의 큰 걸림돌로 꼽히는 실업사태에 대해 "경제성장이 지속되면서 실업률도 하락해야 하지만 실업률이 떨어지는 속도는 기대보다 느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준은 최근 현재 10.0%를 나타내고 있는 실업률이 내년에는 9.3∼9.7%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고, 고용시장이 완전히 정상화되려면 5~6년이 걸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버냉키 의장은 연준이 현 시점에서 인플레이션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의 인플레이션 관련 언급은 이달 15∼16일 개최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계속 제로(0)수준으로 유지하고, 경기부양적인 통화정책을 고수할 것임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증가하는 실업과 기대 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것"이라며 "사실 인플레이션은 현 수준에서 아래로 떨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연설후 질의응답에서 버냉키 의장은 연준이 2008년초부터 지금까지 금융안정과 경기부양을 위해 시중에 공급한 자금을 이자와 함께 원금을 모두 회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재무부의 부실자산구제프로그램(TARP)에 따라 투입된 금융구제 자금의 경우 상당한 손실이 예상된다"면서도 "연준이 투입한 자금은 납세자들에게 상당한 수입을 안겨주면서 모두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연준은 국채 또는 모기지채권 등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최근 2년 사이 1조3천억달러의 자금을 금융기관에 공급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