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브랜드 가치가 세계 주요국 가운데 실체 기준 19위, 이미지 기준 20위에 해당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통령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와 삼성경제연구소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을 포함해 세계 주요 50개국을 대상으로 국가 브랜드를 조사한 결과 이 처럼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두 기관이 공동으로 개발한 국가브랜드지수(NBDO;Nation Brand Dual Octagon)는 125개 통계수치를 반영한 '실체'와 26개국 오피니언 리더 1만3천500명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인 '이미지'로 나뉜다. 조사항목은 경제ㆍ기업, 과학ㆍ기술, 인프라, 정부효율성, 전통문화ㆍ자연, 현대문화, 국민, 유명인 등 8개 부문이다.
한국의 실체 브랜드지수는 19위 였고, 미국이 1위를 차지했으며 독일, 프랑스, 영국, 일본, 스웨덴, 스위스, 캐나다, 호주, 네덜란드 순이었다.
한국은 과학·기술이 4위, 현대문화는 8위, 유명인은 10위를 기록하는 등 3개 부문에서 10위권에 들었다. 반면, 정부효율성은 24위, 인프라는 25위, 국민은 33위, 전통문화ㆍ자연은 37위 등으로 점수가 낮았다.
이미지 브랜드지수에서는 한국이 20위를 차지했으며, 프랑스가 1위를 차지했다.일본, 스웨덴, 영국, 독일, 미국, 스위스, 캐나다, 네덜란드, 이탈리아 순이었다.
한국은 과학ㆍ기술이 9위, 경제ㆍ기업이 15위를 차지했지만 나머지 항목에서는 취약했다. 인프라는 21위, 국민은 22위, 현대문화는 24위, 정부 효율성은 27위, 유명인은 27위, 전통문화ㆍ자연은 34위에 그쳤다.
한국의 국가브랜드는 OECD국 평균과 비교 시 실체기준으로는 97%로 근접했으나, 이미지 기준으로는 89%에 머물었다. 이는 대외 이미지가 통계로 나타난 실적에 못미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다만, G20국 평균과 비교할 때에는 실체는 106%, 이미지는 94%의 도달률을 기록해 한국은 G7과 신흥국가 간 교량 역할을 하기에 손색없는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설문조사 대상을 국내외 인사로 나눠 '국내평가'와 '해외평가'를 비교해보면 학ㆍ기술과 경제ㆍ기업은 실체 점수도 높고 해외평가도 좋은데, 국내평가는 이보다 낮았다.
반면, 전통문화·자연은 실체 수준이 낮은 데 비해 국내 평가가 지나치게 과대평가됐고, 유명인은 실체 수준은 좋은 데 비해 해외 평가가 지나치게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삼성경제연구소 이동훈 수석연구원은 "한국은 G7국가와 비교해보면 실체와 이미지 모두 상당한 격차가 난다"라며 "특히 국가발전 단계상 실체 대비 낮은 이미지를 보이고 있어 개선 노력이 절실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그는 "OECD국 평균에 도달하지 못한 부문인 인프라, 정부효율성, 국민, 전통문화·자연의 실체를 개선해야 한다"며 "실체는 높지만 이미지가 낮은 유명인, 현대문화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해외홍보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연구원은 "특히 실체를 갖추고 있고 이미지도 좋지만 국내 평가가 낮은 과학·기술, 경제·기업 부문은 국내 홍보를 통해 자부심을 고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