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11월 무역수지 ‘불황형 흑자’ 탈출

지난해 11월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수출과 수입모두 전년동월대비 증가세로 전환했다.

14일 관세청의 '11월 수출입 동향 확정치'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340억8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8.1% 증가했다. 지난달 수입은 294억6천만 달러로 2.1% 증가하며 처음으로 증가세였다.

이로써 무역수지는 46억2천만 달러 흑자를 보이며, 10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달 확정치는 이달 초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잠정치보다 수출은 1억9천만달러, 수입은 7억6천만달러 각각 적었고,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잠정치보다 5억7천만 달러 많게 나타났다.

수출은 수송장비인 자동차(11.6%↓), 선박(7.1%↓)이 감소했으나, 전기·전자제품인 반도체(85.2%), 액정디바이스(64.2%), 가전제품(58.7%)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수입은 경기회복 기대감으로 소비재(10.8%)와 자본재(18.6%)가 증가했고, 원유 등 원자재(6.8%) 수입감소폭도 한자리수로 둔화됐다.

국가별로 살펴보자면 미국, EU, 동남아, 중남미 흑자가 전체 흑자를 견인했다.

미국과의 무역에서 수출은 35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0.1% 감소했고 수입은 27억 달러로 27.1% 줄어 무역수지는 8억 달러 흑자를 보였다.

유럽연합(EU)과의 무역에서 수출은 24.9% 증가한 44억 달러, 수입은 22.1% 감소한 30억 달러로 13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또한 중국은 수출(81억달러)이 10.5% 줄고 수입(50억달러)은 32.5% 감소해 32억 달러 흑자를 보였고, 동남아는 수출(69억달러)이 16.8% 줄고 수입(40억달러)은 19.0% 감소해 29억 달러 흑자를 보였다.

반면, 일본과 중동의 무역수지는 적자였다.

일본의 경우 수출(21억 달러)로 24.9% 줄었고 수입(44억달러)로 22.6% 감소해 23억달러 적자를 보였다. 중동은 수출(20억달러)이 10.9% 줄었고, 수입(55억달러)은 42.9% 감소해 35억달러 적자를 보였다.

관세청은 "수출입 증가세가 지속되며 올해 400억 달러 흑자를 넘어설 전망이다"라며 "12월 무역수지는 40억 달러 안팎의 흑자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