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금감원, KB금융 사외이사 집중 조사

금융감독원이 사전검사로 KB금융지주 일부 사외이사의 비리 혐의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검사가 KB금융지주 회장 선임차 열리는 임시주주 총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추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 16~23일 KB금융지주와 KB은행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 KB금융지주의 모 사외이사는 자신과 연관된 회사가 국민은행의 정보기술(IT) 시스템 유지와 보수 계약을 체결하는 데 관여한 정황 등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금감원은 사외이사들이 최근 KB금융지주 회장 선임 전 사외이사들의 연임 규정을 바꾼 경위와 KB금융의 한 사외이사가 회장 후보에게 지지 대가로 국민은행장 자리를 요구했다는 루머에 대해서도 확인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금감원은 KB은행의 카자흐스탄 센터크레디트은행(BCC) 투자, 커버드본드 발행, 전산시스템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검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전검사는 내년 1월 14일부터 예정된 종합검사에 앞서 실시한 자료수집 차원으로 이뤄졌다. 금감원은 종합검사에서도 KB금융과 KB은행 사외이사들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며, 필요할 경우 계좌추적권을 발동하거나 의혹이 제기된 사외이사들을 직접 조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와 관련KB금융과 KB은행은 비상이 걸렸다. 내년 1월 7일 강정원 KB금융지주 회장 내정자를 회장으로 공식 선임하기 위한 임시주총이 예정됐기 때문이다.

한편, 최근 KB금융지주 이사회는 사외이사의 내규를 변경, 사외이사추천위원회의 정족수를 기존 4명에서 전체 정족수로 바꿨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강 내정자를 선임하기 위한 방편이 아니냐는 시각이 제기됐다. 당시 사추위내 기존 4명의 사외이사가 친 강정원 성격을 띠지 않았기에 전체 정족수로 바꿔서 비 강정원파의 사추위 위력을 희석시키려는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또 1월초 바로 임시주총을 추진하고 있는 점도 강 내정자 체제로 속히 재편하겠다는 의도가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은 강정원 밀착형 사회이사 제도가 유지되는 과정에서 권한이 집중된 사외이사들의 비리혐의가 많다고 보고 강도 높은 조사를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번에 제기된 혐의가 이미 조치된 것이었다며 최근 회장 선임 과정에서 당국과 마찰을 빚은 강 내정자에 대한 보복성이 강하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