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연극열전2>-<늘근도둑 이야기> 오는 3월 1일 고별무대!

<연극열전2> 최고의 흥행레퍼토리 작품 <늘근도둑 이야기>가 오는 3월 1일을 마지막으로 2년 2개월의 공연에 마침표를 찍는다. 2008년 1월 4일, <연극열전2>의 두 번째 작품으로 시작된 <늘근도둑 이야기>는 관객들의 뜨거운 성원에 힘입어 장기공연에 돌입, 대학로를 대표하는 스테디셀러 연극으로 자리잡았다.

2009년에는 단일연극으로는 이례적으로 대학로·강남·구로 서울지역 3개관 동시 공연에 들어가며 지난해 12월 31일 기준으로(지방공연 포함) 총 누적관객수 전국 28만명 돌파, 총 1,543회 공연, 평균 객석점유율 90%, 광주, 울산, 대전, 대구, 부산, 제주 등 28개 지방공연 매진이라는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수상경력도 화려한데 2008년 인터파크 상반기 연극티켓판매 1위, 2009년 인터파크 연간 연극예매순위 1위, 골든티켓파워상 대상, 골든티켓 티켓파워상 연극남자배우상에는 박철민 배우가 선정되며 관객의 사랑을 입증했다.

◈ 꾸준한 인기 비결은 시대를 반영한 풍자와 웃음

1989년 동숭아트센터 개관 기념 ‘제1회 동숭연극제’ 초청으로 동숭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초연된 <늘근도둑 이야기>는 1996년 명계남, 유오성 출연, 1997년 앙코르공연, 2003년 동숭아트센터의 ‘生 연극시리즈’까지 공연이 올려질 때마다 관객의 호응 속에 화제를 낳아왔다. 2008년 <연극열전2> 두 번째 작품으로 다시 무대에 오른 <늘근도둑 이야기>는 영화 ‘화려한 휴가’ 김지훈 감독이 연극연출 데뷔작으로 다시 한 번 기대를 모았다. 김지훈 감독은 풍자의 날은 가다듬고 웃음의 포인트를 강화하여 변화된 시대상을 작품에 녹여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초연 이후 올해로 공연 21주년을 맞는 <늘근도둑 이야기>가 시대의 변화 속에 관객의 사랑을 받아온 이유는 바로 매 공연 시대를 반영한 뼈있는 웃음과 풍자였다. 2008년 1월에는 이슈가 되었던 ‘삼성가 불법자금 미술품 구입 의혹 사건’을, 같은 해 3월엔 ‘대운하 정책’을, 8월에는 ‘광우병 파동’, ‘촛불 시위’를, 2009년에는 ‘용산화재 참사사건’과 관련된 ‘법무장관 이메일 사건’, ‘박연차 게이트’, ‘허경영 신드롬’,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루저 발언’ 등 민감한 최신 시사현안을 뼈있는 웃음으로 전달하며 시대에 맞는 시사풍자코미디의 진수를 보여왔다. 가벼운 코미디가 주류를 이뤄오던 대학로에 <늘근도둑 이야기>의 등장은 공연의 주 관람층인 20~30대뿐만 아니라 40~50대 중년 관객층까지 극장으로 불러모으며 전 연령층이 관람하기 좋은 연극으로 인식되었을 뿐 아니라 새로운 회식문화를 찾는 강남·구로 지역의 직장인 관객 공략, 코엑스와 신도림역 주변 유동인구 흡수 등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잠재 관객 개발에도 성공했다.

◈ 대학로 베테랑 연극 배우들이 사랑한 <늘근도둑 이야기>

<연극열전 2> <늘근도둑 이야기>의 출연배우도 박철민, 유형관, 박길수, 서현철, 최덕문, 김원해, 진선규 등 대학로를 대표하는 베테랑 연극 배우들을 비롯하여 총 19명. 2008년 1월 본공연부터 지금까지 공연에 참여하며 뛰어난 연기력과 화려한 애드립으로 관객들에게 큰 웃음을 선사해 온 배우 박철민은 “<늘근도둑 이야기>를 사랑하는 마음이 아직 남아있는데 이렇게 떠나 보내야 하니 너무 아쉽다. 지금까지 늙은 도둑들을 찾아주신 관객들에게 감사하고 앞으로 더 큰 웃음으로 보답하겠다” 며 얼마 남지 않은 마지막 공연에 대한 소감을 전했다. <연극열전2> <늘근도둑 이야기>는 오는 31일을 마지막으로 구로 프라임 아트홀 공연을 종료하며 대학로 알과핵 소극장과 강남 코엑스 아트홀은 오는 3월 1일을 마지막으로 모든 공연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