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청년 백수, 이른바 니트(NEET·Not in Education, Employment, Training)족이 4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니트족이란 일을 하지 않으면서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교육이나 직업훈련도 받지 않는 청년층을 말한다.
4일 통계청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에 실패하거나 구직을 하지 않은 비경제활동 인구 중 아무런 활동도 하지 않고 쉬고 있는 청년층(15∼34세)이 43만명으로 추산됐다.
이는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 인구조사에서 비경제활동 인구에서 가사ㆍ육아, 통학, 연로ㆍ심신장애, 취업ㆍ진학준비, 입대 대기 등을 뺀 '쉬었음' 응답자 수에다 15~34세 인구가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곱한 값이다.
이러한 니트족 청년들은 2004년 33만명으로 30만명대에 진입한 이후 2005년 38만5000명, 2006년 39만1000명, 2007년 39만7000명, 2008년 39만9000명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전년 대비 증가폭은 2005년 5만6000명에서 2008년 3000명까지 줄었지만, 지난해 다시 3만명으로 폭이 늘었다.
조사에 따르면 15~34세 인구는 2004년 1534만명에서 지난해 1419만명으로 115만명(7.5%) 감소한 반면, 집에서 쉬고 있는 청년층은 같은 기간 33만명에서 43만명으로 10만명(30.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36만5000명으로 전체의 약 8%를 차지, 5년 전 27만5000명과 비교하면 약 9만명이 증가했다. 여성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지난해 5000명 늘었다.
한편, 일본은 후생노동성이 2008년 기준 자국 내 니트족 수를 64만명으로 집계했다. 그러나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인구가 몇 배는 많고 2002년 이후 큰 변화가 없지만, 우리나라는 2004년 33만명이었던 것에서 5년 새 33%나 증가하는 등 빠른 속도로 악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