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가계대출 ‘변동금리 쏠림 현상’ 재연

은행 가계대출에서 고정금리 비중은 줄고 변동금리 상품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변동금리 대출이 많을수록 금리 상승기에 가계의 이자부담이 늘어날 가능성이 많아진다. 당국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은행에 고정금리 대출을 높이도록 주문한 바 있지만 통하지 않는 모습이다.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월 예금은행 가계대출의 고정금리 대출 비중은 9.7%로 집계됐다. 월별로는 지난해 ▲9월 10.6% ▲10월 13.3%로 커졌다가 ▲11월 12.5% ▲12월 11.6%로 줄어들며 4개월 만에 한 자릿수로 돌아왔다.

2004년 2월에는 42.4%에 달했던 고정금리 비중은 이후 꾸준히 작아져 2005년부터 10%대를 유지했다. 금융위기였던 지난해 초에는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수준으로 떨어지자 6~7%대에 머물기도 했다.

반대로 지난해 10월 86.7%까지 작아졌던 변동금리 대출비중은 1월 들어 90.3%로 커졌다. 한은 측은 시중금리 하락세와 '출구전략'이 늦춰지며 기준금리 인상도 늦어질 것이라는 기대심리로 변동금리 대출이 더 커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금리 대출은 변동금리보다 금리가 높아, 가계가 대출받을 시 변동금리에 관심이 가는 것은 사실이다. 은행들의 경우 변동금리 대출 상품을 많이 팔면 은행들이 감내해야 할 금리변동 위험을 고객들에게 넘겨 위험 분산 효과를 얻는다.

조정환 한은 안정분석팀장은 "은행입장에서는 변동금리를 안정성이나 수익성 측면에서 선호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가계대출 비중이 높아 금리가 상승할 경우 가계의 이자부담이 늘어나는 위험이 있다. 실제로 은행 가계대출은 지난 1월 현재 409조원을 기록했다. 변동금리 대출비중을 평균 90%(약 370조원)라고 보면, 향후 금리가 1%포인트만 올라도 연간 이자부담이 3조7000억원 늘어나는 셈이다. 이에 따라 금융감독원은 이러한 이유로 고정금리 대출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