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의 침몰 원인을 조사하고 있는 민.군 합동조사단(합조단)이 25일 브리핑에서 “천안함은 수중폭발 가능성이 높으며, 비접촉 폭발로 침몰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2차 현장 합동조사결과를 발표했다.
합조단 윤덕용 공동조사단장은 이날 오후 2시 국방부 브리핑룸에서 “인양된 선체의 절단면 및 내외부 육안검사 결과 수중폭발로 판단되고, 선체의 변형형태로 볼때 접촉폭발보다 비접촉폭발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특히 절단면의 찢어진 상태나 안으로 심하게 휘어진 상태는 수중폭발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내고, 선체 내외부에 폭발에 의한 그을음과 열에 의해 녹은 흔적이 전혀 없고 파고 된 부분도 없는 것은 비접촉폭발이 됐다는 것이 조사단의 설명이다.
폭발은 “폭발이 천안함 터빈실 좌현 하단부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조사단은 밝혔다. 아울러 “조사원들이 인양한 천안함을 실측한 결과 총 길이 88m 중 좌현 함수가 47.6m, 함미 37.5m로 좌현부서 3.2미터가 유실됐고 우현부는 함수 45.4m, 함미 33m로 약 9.9m 유실됐다”며 “개스터빈실이 위치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모든 선조 부분이 위쪽으로 휘어졌다”며 “이는 압력이 밑에서 위로 작용한 것으로 이렇다할 파공이 없는 것과 더불어 접촉 피격이 아닌 압력에 의한 절단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또 “(천안함내 설치된)안전기도 자세히 보면 압력을 받아 위로 찌그러져 방향이 돌아간 상태”라며 “이를 조사하면 (폭발 위력을) 알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내부폭발은, 함수 선체 부분을 조사한 결과 탄약고 연료탱크에 손상이 없었고 전선의 피복상태가 양호하며 내장부가 불에 탄 흔적이 없던 점으로 보아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됐다.
피로파괴는, 선저에 긁힌 흔적이 없고 소나돔 상태가 양호하며 선체 손상형태로 볼 때 절단면이 복잡하게 변형돼 있어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됐다.
조사에는 민군 전문가와 미국 및 호주해군 조사팀을 포함해 총 43명의 조사관이 참여했다.
브리핑 이후 기자들의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어뢰로 판단할 수 있는 증거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윤 당장은 “무기체계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결과로는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고 답했고, ‘이런 형태의 수중폭발이 어뢰나 기뢰 등 어떤 무기체계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나’는 질문에 박정이 합참 전력발전본부장은 “어떤 무기체계에 의해 폭발이 일어났는지는 좀 더 세밀하게 분석하고 검토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고 답했다.
‘물기둥을 보지 못했다고 하는데 버블제트 가능성이 있는 것인가’ 질문에 윤단장은 “버블제트 양상이 여러가지로 나타날 수 있다”고 답했고, ‘수중비접촉 폭발이라고 했는데 물기둥이 목격되지 않은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나’는 질문에 박 본부장은 “폭발력이 어느 정도 수심에서 이뤄졌느냐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