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명칭이 7월부터 '고용노동부'로 바뀌고 약칭은 '고용부'로 확정됐다.
노동부는 1948년 사회부 노동국으로 출발해 1981년까지는 노동행정 집행에 역점을 뒀고, 81년 '부'로 승격되면서 노동정책 수립을 강화했으며, 1997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는 고용정책에 포커스를 맞춘 노동정책을 발전시켰다.
노동부 명칭이 '고용노동부'로 바뀌면서 노동부의 주 업무는 '고용정책 총괄' 주무부처로 재정립됐다. 임태희 노동부 장관도 이에 대해 "고용노동부로의 전환은 노동부의 역할과 사명의 변화이자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라고 설명했다.
고용노동부가 본격적으로 출범되면 고용정책은 '수요자ㆍ시장중심으로 전환된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일자리 사업은 '일자리가 없는 사람'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민간고용서비스 시장을 활성화 해 시장친화적 정책의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지금까지의 주력업무였던 노사정책의 방향도 '고용친화적'으로 수정된다. 노동부는 현장과 지역 중심의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성과 배분 중심’에서 ‘성과 확대와 일자리 창출’ 중심의 "생산적 노사관계"로의 전환을 유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전임자·복수노조 제도가 산업현장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교육·홍보를 강화하고 사문화와 관행 개선, 법과 원칙을 바탕으로 한 노사문제 자율해결 원칙 등도 견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