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2일 천안함 후속 대응방안과 관련, "미국은 기존 제재장치를 엄격히 적용하는 한편, 북한의 위조지폐·마약·담배 거래 등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이날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에 천안함 책임을 묻기 위한 비군사적 조치로선 북한으로의 현금 유입을 통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유 장관은 "미국이 이미 북한의 무역·금융·무기거래 등을 제재할 체계를 거미줄 처럼 갖추고 있다"며 "현재 이를 100% 가동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적용 강도를 높여 제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안보리를 통한 추가 제재가 없더라도 우리 정부를 비롯해 미국·일본·EU(유럽연합) 등 우방국의 개별적 조치를 통해 효과적인 대북제재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유 장관은 천안함 문제의 유엔안보리 회부 시기와 수위에 대해 "안보리에 빨리 회부해 논의를 길게 할지, 상임이사국들과 충분한 사전협의를 거친 뒤 속전속결로 처리할지 장·단점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일본 등 우방국은 물론 중국·러시아와도 긴밀히 협의하고 나서 안보리 회부 시기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유 장관은 이어 "어느 쪽도 비호하지 않겠다는 중국의 입장을 평가해야 한다"며 "다만 중국은 한반도의 무력충돌 자제에 무게를 두지만 우리는 북한의 추가 도발 억제를 강조하는 것이 차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러시아에 대해 "러시아는 (천안함 관련)전문가팀을 보내는 등 적극적이어서 협조해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한편 6자회담 우리측 수석대표인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2일 알렉세이 바라다브킨 러시아 외교부 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 등과 천안함 사건을 협의하기 위해 러시아로 출발했으며, 천영우 제2차관도 미국에서 제임스 스타인버그 미국 국무부 부장관 등과 만나 유엔안보리 회부 일정을 협의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