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9일(이하 현지시간) “천안함 침몰을 초래한 공격을 규탄”하는 의장성명을 만장일치로 채택, 천안함 사건에 대한 안보리 논의는 지난달 4일 공식 회부된 뒤 35일 만에 막을 내렸다.
안보리는 이날 오전 9시40분께 전체회의를 소집해 전날‘P5(상임이사국) + 2(한국.일본)’간에 잠정 합의된 문안을 9분 만에 토론 없이 통과시킴켰다.
성명은 “북한이 천안함 침몰에 책임이 있다는 결론을 내린 민·군 합동조사단의 조사결과에 비추어 깊은 우려를 표명하며 이에 따라 안보리는 천안함 침몰을 초래한 공격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성명은 명시적으로 북한을 공격 주체로 표시하지는 않았다.
이에 남북한이 모두 ‘외교적 승리’를 선언하는 등 상반된 견해를 내고 있다. 한국 외교부는 의장성명 채택 직후 성명을 통해 안보리 이사국들이 만장일치로 천안함 공격을 비난하는 성명을 채택한 것에 대해 감사를 표시하면서 “북한은 성명의 정신을 존중해 천안함 도발 행위를 솔직히 인정하고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반면 북한의 신선호 유엔 대사는 “이 성명은 위대한 외교적 승리”라면서 “우리는 그동안 이 사건이 우리와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말해 왔다”고 주장했다.
이는 성명이 한달 여간의 협상을 통해 한국의 요구와 북한의 주장을 모두 포괄해 버렸기 때문이다. 북한에 책임이 있다는 합조단 조사의 관점에서 우려를 표명하면서 자신들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북한의 주장이 성명에모두 포함돼 있고 북한을 직접적공격 주체로 표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편, 북한은 책임이 명시되지 않은 UN 결의안에 화답하며 6자 회담 재개 의사를 내비쳤다.
이에 한국 고위당국자는 “북한은 먼저 천안함 사건에 대해 사과 또는 잘못을 인정하고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보여야 6자회담재개가 가능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