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韓, '리튬' 확보 쉬워진다

노트북·휴대전화 및 전기자동차 등의 핵심 원료이지만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리튬' 확보가 쉬워질 전망이다.

2차 전지의 원료로 주목받고 있는 금속인 '리튬'은 가볍고 에너지를 많이 저장할 수 있어 노트북·휴대전화에 많이 쓰이며, 하이브리드차·전기자동차의 3대 핵심 원료로 폭발적인 수요 급증이 예상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현재 전량 수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기술과 생산기지를 확보한 LG화학·삼성SDI·SK에너지 등 국내 기업은 칠레·미국 등에서 리튬을 전량 수입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5천142t을 수입했다.

이러한 상황이기에 산업계는 후안 에보 모랄레스 아이마(Juan Evo Morales Ayma) 볼리비아 대통령의 첫 방한(25~27일)에 주목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오는 26일 청와대에서 모랄레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정무·통상·개발협력·자원협력 등 양국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이 대통령은 모랄레스 대통령에게 리튬 등 광물자원 분야에 있어 우리 기업의 투자 진출을 위한 볼리비아 정부의 협력 요청할 예정이다.

볼리비아 서부의 우유니 호수에는 세계 리튬 매장량의 절반인 540만톤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자원 개발권을 놓고 우리나라와 일본·프랑스·브라질 등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8월 볼리비아 과학위원회와 '리튬개발 및 산업화 연구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우유니 호수의 리튬 개발을 위한 협력을 지속해왔다.

현재 양국 정부 간에는 리튬 개발 합의서에 포함될 기술 협력 수준과 개발 참여 범위를 놓고 최종 문구를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볼리비아 대통령이 중남미 이외의 국가를 방문한 적이 한 번도 없는 가운데 모랄레스 대통령이 볼리비아 국가 정상으로서는 최초의 방한하는 것이기에 의미가 크다"며 "한-볼리비아의 관계를 한층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모랄레스 대통령은 방한 중 볼리비아 투자설명회 개최를 통해 한국 기업인들과 직접 만나는 기회를 가질 계획이다. 또한 LG화학 연구소와 공장을 방문해 최첨단 리튬 이온전지 생산시설을 둘러볼 예정이다. 이외 인천항만 및 인천국제공항 시설 방문, 경제 4단체장 주최 오찬간담회에 참석하게 된다.

한편, 한국광물자원공사는 볼리비아와 리듐 개발 및 공동 연구 외 최근 GS칼텍스·LG상사·캐나다 '리튬원'사와 아르헨티나 살데비다 리튬 탐사사업 합작계약을 체결했다. 

광물공사 김신종 사장은 "리튬 확보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칠레와 아르헨티나를, 장기적으론 볼리비아를 공략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