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뉴욕 마감] 고용 지표 안도에 사흘째 랠리…다우 1.24%↑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미국의 8월 고용지표가 전문가 예상보다 양호하게 나타난 효과로 사흘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날 블루칩 중심의 다우산업 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27.83포인트(1.24%) 오른 1만447.93으로 마감했다. 이로써 다우지수는 이번주 2.9%나 올랐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4.41포인트(1.32%) 상승한 1104.51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3.74(1.53%)포인트 오른 2233.75를 기록했다.

S&P 500 지수의 주간 상승률은 3.8%, 나스닥 지수는 3.7%나 됐다.

뉴욕증시는 출발부터 오름세였다.관심의 대상이었던  8월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좋은 수치를 내보인 점이 호재로 작용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8월 비농업 부분 고용은 5만4000명 감소했다. 이는 10만여명 정도 감소를 예측한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큰폭으로 웃돈 수치였다. 특히 정부 부분을 제외한 민간부분 고용이 예상보다 많이 증가했다. 당초 민간고용 증가 예상치는 4만명이였으나 6만7000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미국의 8월 서비스업 지표가 예상보다 더 둔화한 것으로 드러나자, 뉴욕증시는 상승폭을 다소 줄이기도 했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한 8월 비제조(서비스)업 지수는 전월 54.3%에서 51.5%로 하락했다. 이는 53% 남짓을 예상했던 시장의 전망치를 밑도는 수치이다. 지수는 기준인 50%를 상회할 경우 경기확장을, 그 반대인 경우에는 경기위축을 나타낸다.

그러나 그간 발표되었던 미국의 8월 제조업경지 지표가 예상과 달리 상승세를 기록하고, 7월 잠정주택판매가 3개월 만에 뜻밖의 증가세로 보인데다, 8월 고용지표마저 예상보다 좋은 수치 보인 것이 더블딥 우려를 희석시킨 것으로 해석되면서 상승폭을 다시 확대하며 마감했다.

이날은  금융주와 기술주, 소비관련주들이 강세를 이끌었다.

JP모간체이스가 3% 가량 급등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1.66%, 시티그룹은 0.77%, 웰스파고는 2.95% 올랐다.

시스코가 2.7%, 휴렛팩커드가 2%, IBM은 2% 상승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1.5% 인텔은 1.7% 올랐다.

다우지수를 구성하는 대형종목 30개가 모두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