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에 따라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올 연말까지 운용하기로 했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에 대해 세계경제 불안요인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장관은 9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이와 같이 말하며 "세계경제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대내적으로도 체감경기 개선이 경제 전반으로 충분히 확산되지 못하는 점 등을 고려해 위기관리대책회의는 비상경제상황실과 함께 올해 말까지는 운영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위기관리대책회의는 재정부 장관이 주재하고 경제 관계부처 장관들이 참석하는 회의다. 원래는 ‘경제정책조정회의’였지만 지난 2008년 7월 고유가 파동을 겪으면서 위기 대응국면을 높이기 위해 이름을 바뀌었다.
청와대는 지난 2일 경제분야의 위기관리 `센터' 역할을 해온 비상경제대책회의의 명칭을 국민경제대책회의로 변경한 바 있다.
한편, 윤 장관은 이날 안건으로 제시된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방안'과 관련, "국내 R&D 서비스업은 초기형성단계에 불과한 실정으로 국가경제 전반의 혁신역량 제고 측면에서 R&D 서비스업의 수요창출과 인프라 확충 방안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른 안건인 `시스템반도체산업 및 장비산업 육성방안'에 대해서는 "우리의 반도체 산업은 시스템반도체와 장비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며 "시스템반도체 산업은 자동차ㆍ전자ㆍ조선 등 주력산업과 녹색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IT융합의 핵심요소"라고 강조했다.
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