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0대그룹이 협력업체와 동반성장을 위해 83개 중소기업에 3조7836억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는 전년대비 38.6% 증가한 수준으로 최근 상생협력이 강조되면서 주요 대기업들이 협력사에 대한 지원을 늘린 결과다.
전국경제인연합(전경련) 정병철 상근부회장은 13일 청와대에서 열린 이명박 대통령과 12명 대기업 총수들에게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동반성장을 위한 대기업 추진과제'를 보고했다.
정 부회장은 조찬간담회에서 "글로벌 경쟁 환경이 개별기업을 넘어 협력업체를 포함한 네트워크 간 경쟁으로 전개되고 있는 만큼 기업 간 유기적 협력은 이미 생존 차원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며 "이에 대기업의 협력사 지원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국내 주요 업종별 필요부품 및 협력사를 살펴보면 자동차의 경우 필요부품 종류가 2만5천개이며 1차 협력사는 340개다. 조선은 90만개의 부품이 필요하며, 1차 협력사는 2300개에 이른다. 휴대전화는 130개 협력사가 디스플레이는 170개 협력사가 있는 등 2,3차 협력사는 헤아리기 힘들 정도다. 삼성전자의 경우 국내 협력업체가 2차까지 총 1만여개 업체에 달한다. 3차 협력업체는 추산 자체가 불가능할 정도다.
정병철 부회장의 "완제품의 경쟁력은 수많은 기업의 협업에 의해 결정되므로 기업간 유기적 협력은 글로벌 경쟁시대의 생존전략이기도 하다"는 발언은 이와 같은 배경에서 나온 것이다.
또 간담회 자리서 정 부회장은 주요 대기업의 협력 모범 사례를 설명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키코 손실로 흑자 도산 위기에 빠진 태산LCD에 대해 기존 물량 보장·TV 생산과정 일부 위탁 등으로 재무위기 극복과 경영정상화를 이끌어 냈다. 현대차는 모토닉과 27개 2·3차 협력사와 공동으로 친환경 LPI(LPG+전기)차량을 개발·양산을 성공 시켜 모토닉 연간 800억원이라는 매출 증대를 이끌어냈으며, 2·3차 협력사도 450억원 매출을, 현대차는 연간 125억원의 부품 수입대체효과를 봤다. 또한 정 부회장은 기술개발을 통해 고로 풍구 국산화·해외 25개국 60여개 제철소 대상 판로개척 지원한 포스코의 사례 등을 소개했다.
정 부회장은 그러나 "지원이 경영애로 해소를 위한 자금지원 중심으로 돼 있어, 자생력 강화 차원의 기술개발 지원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지적하며 "협력사의 자생력 확보를 위한 기술 및 인력 협력을 강화하고, 공정거래 문화를 2·3차까지 확산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간담회 자리서 정 부회장은 '상생협력'에서 '동반성장'으로 인식 전환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모기업과 협력사가 함께 성장해 나가야 하는 전략적 파트너로 인식하고 기존 실무부서 차원의 협력을 전사적 차원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공정거래 협약에 참가한 76개 대기업의 지원규모는 납품단가 인상 1조1500억원을 포함한 3조6000억원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