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청와대에서 열린 이명박 대통령과 재계 총수들의 '회동'에 대해 중소기업계는 긍정적인 반응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인사말에 재계 대표로 답사했던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2·3차 협력업체까지 세심하게 챙기겠다는 발언은 대기업들의 상생이 이미 1차 협력사를 넘어섰다는 의지를 확연하게 보여줬기 때문이다.
재계 총수들도 간담회 자리서 "발표한 방안을 성실히 실천하도록 할 것"이라는 입장을 강조했다.
특히 납품단가와 관련한 문제에서 점점 합의점을 찾아가는 분위기인 점은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실제 정부에서도 중소기업체들이 가장 문제 삼고 있는 납품단가 등 핵심쟁점과 관련한 제도화를 검토 중이다.
대기업들은 납품단가 연동제에 대해서는 "시장경제의 근간을 해친다"는 이유로 격렬하게 반대하고 있지만, 예전처럼 납품단가를 전혀 거론하지 않는 분위기는 아니다. 일부 기업은 ▲납품단가 조정대상 협력사를 확대 ▲원자재값 상승률 일부 반영 등을 거론했다.
강남훈 중소기업중앙회 대외협력본부장은 "남품단가 연동제는 안 되더라도 납품단가 협상력을 높일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이 있다"며 "이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요구를 관철시킬 것이고, 정부에서도 이를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상생문화가 조금씩 퍼져나갈 것이란 기대감도 있다. 요즘 들어 눈에 띄는 재계 총수들의 협력사 방문 때문이다.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이건희 회장의 발언을 보면 2, 3차 협력업체들까지 세심하게 모니터링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며 "아무래도 총수들이 그런 얘기를 꺼내면 실무진들 입장에서도 좀 달라지지 않겠느냐"고 분석했다.
물론 정부 차원의 제도와 법 제도 방안도 제기됐다. 중소기업 한 관계자는 "상생문화도 좋지만 다소 추상적이고 자율성인 측면이 많다"며 "이명박 대통령도 언급했지만, 정부 차원의 법 제도 마련으로 어느 정도의 강제성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회동은 정부의 상생협력 등과 관련한 '대기업 압박' 이후 첫 만남으로 주목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