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회동한 재계 총수들이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이명박 대통령은 13일 청와대에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등 재계총수 12명과 조찬 간담회를 열고 대기업과 협력업체간의 협력을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정부의 ‘강제규정’ 대신 ‘상생문화’를 강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은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동반성장에 대한 모든 것을 강제적 규정이나 법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그러나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고 밝혔다.
간담회 자리에서 이 대통령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이 동반 성장함으로써 중소기업이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하자”는 부탁에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재계를 대표해 “2·3차 협력업체까지 포함해서 좀 더 무겁게 생각하고 세밀하게 챙길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 회장은 “대기업과 중소 협력업체가 함께 성장하는 것은 대기업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시장경제와 자본주의를 건전하게 발전시키는데도 필요한 일이다”고 덧붙였다.
또한 재계 총수들은 “투자와 고용 계획을 차질 없이 진행할 것”이라며 “향후 좀 더 진전된 상생방안 발굴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투자와 고용을 늘려 경제살리기를 지원하는 동시에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통한 상생을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이미 재계총수들은 9월 회장단 정례회의를 통해 하반기 30대그룹의 투자액을 53조8000억원으로, 신규채용은 지난해 보다 31.2% 증가한 약 9만7000명으로 늘릴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특히 대기업 총수들에게 ‘일자리 창출’과 함께 ‘공정한 사회’ 실현을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관계도 ‘공정함’을 유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관계도 공정한 사회에 걸맞은지, 공정한 거래인지, 한번 생각해봐야 한다”고 지적하며 “동반 성장을 위해서는 인간적 대화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기업들이 동반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면 대기업에 대한 국민의 인식도 달라질 것이라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여기 와계신 대기업 총수들이 마음먹으면 그것 하나 못하겠느냐”며 “기업 총수는 대부분 그런 생각 안할 거 같은데 밑에 가면 실적을 올려야 되니까 (불공정 관행을) 한다더라. 중소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대기업의 관행이 있는지 총수들이 관심을 가져달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