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한국 올해 경제성장률 G20 국가 중 5위 전망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5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한 내년에는 대외 불확실성이 커질 전망에도 G20 중 성장률 4위로 올라설 것으로 보인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광주광역시에서 열린 G20 재무차관·중앙은행 부총재 회의에 이 같은 내용의 세계경제 현황 보고서를 제출했다. IMF는 이번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로 지난 7월 세계경제 전망 때와 마찬가지로 올해 5.7%, 내년 5.0%를 제시했다.

앞서 IMF는 G20 재무차관 회의 직전에 열린 연례협의에서 우리나라 성장률을 올해 6.1%, 내년 4.5%로 수정 전망했기 때문에, 이를 적용하면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중국(10.5%), 인도(9.4%), 브라질(7.1%), 터키(6.3%)에 이어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올해 한국보다 성장률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G20 국가들은 모두 IMF에서 신흥·개도국으로 분류되는 나라다. G20 선진국 중에서는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이 가장 좋은 셈이다.

올해 성장률 전망은 한국에 이어서는 인도네시아(6.0%), 아르헨티나(5.4%), 멕시코(4.5%), 러시아(4.3%) 순이었다. G20 중에서는 이탈리아가 올해 성장률이 0.9%로 가장 낮을 것으로 평가됐다.

내년에도 한국의 경제 성장률은 4.5%로 중국(9.6%), 인도(8.4%), 인도네시아(6.2%)에 이어 가장 높을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G20 중에 네 번째로 높은 성장률이다. 우리나라는 건전한 재정과 강한 수출 경쟁력이 다른 나라에 비해 경기 회복세의 둔화 폭을 최소화할 것으로 평가됐다. 멕시코(4.4%), 브라질·사우디아라비아(4.2%), 러시아(4.1%)도 4%대 성장을 구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IMF는 이번 보고서에서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에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기 회복세가 둔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G20 회원국들은 출구전략을 통해 경제를 정상화하고 내년부터 재정 건전화를 강력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