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재정 조기집행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한국은행에서 빌린 돈이 사상 처음으로 30조원을 돌파했다.
24일 국회 기획재정위 김성식(한나라당) 의원은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한은이 정부에 빌려준 일시 대출금 총액은 34조원이었으며, 갚은 돈을 뺀 대출 잔액은 14조원이다"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가 한은에서 돈을 빌린 규모가 30조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정부가 재정 조기집행을 위해 한은에서 미리 돈을 빌려 쓴 뒤 조세수입이 들어오면 대출금을 갚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재정지출은 국세수입 등 당해연도 수입금으로 충당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재정 조기집행 등 부득이한 지출수요가 있을 경우에 정부는 국고금관리법 등에 근거해 한국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린 후 해당 회계연도 말까지 갚아야한다.
IMF 금융위기를 겪었던 1998년부터 올해까지 대출액이 10조원을 넘었던 해는 지난 2005년(12조원)과 2009년(17조원), 올해(34조원) 등 총 세 번이었다.
정부는 2009년 상반기에 빌린 17조원은 조세수입이 생긴 하반기에 모두 갚았고, 올해 들어서 6월말까지 34조원을 빌린 후 수시로 돈을 갚아 현재 20조원을 상환했다. 이에 까라 이자지급액은 2009년 637억원에서 올해 189억원으로 줄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김 의원은 "정부가 한은에서 대출을 한 것은 불가피한 것이지만, 경기회복의 온기가 바닥까지 퍼질 수 있도록 재정집행의 효율성을 제고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