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평균임금 상승률이 선진국 27개국 중에서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제노동기구(ILO)는 15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세계 115개 국의 임금 통계를 분석한 '세계임금보고서 2010/2011'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선진국 27개 국가 중에서 우리나라가 최근 3년 동안 물가 상승을 감안한 평균 임금의 하락 속도와 규모가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임금상승률은 2000년부터 2005년 사이에는 4.4%, 2006년은 3.4%를 기록했으나, 2007년 이후 3년간 -1.8%, -1.5%, -3.3% 등 내리막을 걸었다.
이는 ILO가 선진국으로 분류한 28개 나라 가운데 인구가 30만 명에 불과한 아이슬란드를 제외하고 실질임금 하향속도가 가장 빠른 것이다.
한편, 전세계 평균 월별 실질임금 상승률은 경제위기 전인 지난 2007년 2.8%에서 2008년에 1.5%로 떨어졌고, 2009년에는 1.6%을 나타났다.
이 기간동안 높은 임금상승률을 기록한 중국을 제외하면 하락폭이 훨씬 커졌다. 중국을 제외한 114개국의 평균 월 급여 상승률은 2007년 2.2%에서 2008년에는 0.8%, 2009년 0.7%로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