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경일보 장세규 기자] 네트워크형 협력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생태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4일 보고서 '중소기업의 새로운 활로, 네트워크형 협력'을 통해 시장환경의 변화와 과거 지원정책의 성과를 감안할 때, 중소기업의 자생력과 근원적 경쟁력 확보를 독려하는 정책이 효과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선빈 수석연구원은 "대기업과의 협력과 해외진출 기회 포착을 위해서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배양이 중요하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수직적 협력뿐 아니라, 중소기업 동종 또는 이(異) 업종 간 수평적 협력을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네트워크형 협력은 대기업 등 원청기업에 의존하는 하청관계에서 탈피해 중소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수평적인 거래관계로 기술, 인력 및 자원을 공유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조정 역할을 특정 기업이 주도하는 '코디네이터형'과 일의 성격에 따라 코디네이터 기업을 유동적으로 변경하는 '컨소시엄형'으로 구분되는데, 네트워크형 협력의 범위는 동일 업종 내의 협력과 다른 업종 기업과의 협력으로 구분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김 수석연구원은 "대기업의 하청기업으로 성장해온 일본 중소기업이 하청관계를 탈피해 자립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중소기업 간 수평적 네트워크가 확대한 것"을 사례로 들며 "국내는 중소기업 간 협력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미흡한 수준이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강한 기업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열림, ▲다양성, ▲상호작용, ▲선별 메커니즘의 4가지 조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수석연구원은 국내 중소기업의 네트워크형 협력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문 제조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지역 클러스터 형성을 지원하고, 클러스터 내에 협력 코디네이터 기업군을 발굴·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네트워크의 응집력을 제고를 위한 신뢰공동체 활성화하고, 중소기업 간 네트워크형 협력 공고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여러 법률 및 부처들에 산재되어 있는 협업 관련 지원 근거와 제도를 통합해 부처 간 연계를 강화하고 중복지원을 방지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