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입주 2년만에 아파트 전세가격 2배까지 '껑충' 뛰어

[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올해 하반기 입주한 지 2년이 돼 재계약 시점을 맞은 '입주 2년' 아파트의 전세가격이 최고 2배 가까이로 올랐다.

29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가 서울시내 주요 입주 2년 아파트의 전세가격을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강남권은 지난 2009년 대비 최고 95%까지 올랐고, 강북에서도 기본적으로 30% 이상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9년 3월 입주할 당시 전세가격이 1억500만원 안팎이었던 강동구 강일동 강일리버파크3단지 공급면적 82㎡의 현재 전세가격은 2억500만원으로 상승률 95%를 기록해 2배 가까이로 치솟았다.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172㎡의 전세가격은 7억9천만원에서 13억원으로 2년만에 65%가 올라 3.3㎡당 전세가가 2천500만원을 돌파했다. 이는 강남권에 새로 공급되는 새 아파트의 분양가보다 더 비싼 수준이다.

전세난이 상대적으로 덜한 강북의 성북구와 노원구 등도 가격 상승률이 만만치 않다.

성북구 석관동 석관래미안 79㎡는 1억4천500만원에서 2억500만원으로, 노원구 상계동 수락리버시티3단지 110㎡는 1억6천만원에서 2억750만원으로 각각 41%와 30% 올랐다.

앞서 부동산리서치전문업체 리얼투데이는 올 하반기 서울의 입주 2년 아파트가 지난해보다 62% 줄어 1만4천959가구에 불과하며, 특히 '강남 4구'(강남ㆍ서초ㆍ송파ㆍ강동구)는 무려 83% 감소한 5천243가구뿐이라고 밝혔다. 이로 인해 입주 2년 아파트 전세 가격의 상승은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었지만, 2배나 가격이 치솟아 전세를 구하는 세입자들에게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전국의 입주 2년 아파트는 지난해 대비 13% 감소하는 데 그쳤고, 경기도와 인천에서는 입주 2년 물량이 늘어나기까지 해 서울에서 밀려난 세입자들이 외곽으로 이동할 지 여부에 관심에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