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한-페루 FTA 내달 1일 공식 발효

[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한국과 페루의 자유무역협정(FTA)이 내일(1일) 공식 발효된다.

페루는 평균 수입관세율이 11%에 달하는데다, 최근 5년간 남미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은 7.2%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수입 시장도 연간 19.1%씩 성장하고 있고 한국의 대(對) 페루 수출도 최근 5년간 27.3%씩 증가하고 있어 이번 FTA로 인한 효과가 클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31일 '한-페루 FTA 발효와 수출확대 수혜품목' 보고서를 통해 평균 수입관세율이 11%인 페루와의 FTA 체결로 국내 수출품의 관세 인하 효과가 클 것이라고 밝혔다.

또 양국간 FTA가 한국 기업들이 중남미 시장에서 새로운 교두보를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판단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외국인 투자 유입도 활발해 연간 23.5% 늘고 있다"면서 "한국기업의 투자도 활발해 브라질과 함께 남미의 2대 투자국으로 부상한 상태"라고 소개했다.

특히 이 보고서는 고율의 관세가 없어지는 자동차(9%)와 전자제품(최고 17%)에서 많은 혜택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중대형 자동차, TV, 일부 의약품, 인조섬유, 비디오, 카스테레오 등은 관세가 즉시 또는 5년 안에 모두 철폐되어 단기간에 높은 수출증가세가 기대되는 수출 전략품목으로 꼽혔다.

중소형 자동차, 부직포, 인쇄용지, 편직물, 냉장고, 엔진용 축전지 등은 관세가 10년에 걸쳐 철폐되지만 관세율이 최고 17%에 달해 중장기적으로 FTA 혜택이 기대되는 품목으로 선정됐다.

또 볼트, 철강선, 잉크, 합성수지, 기어 등은 현재 대(對)페루 수출 실적이 미미하지만 페루의 수입 수요가 적지 않아 9~17%의 높은 관세의 철폐를 계기로 국내 중소기업의 페루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