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환율 1,000원 밑으로 떨어지나"

[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올해 안으로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000원 밑으로 떨어질 수도 있을 전망이다.

31일 외국계 투자은행과, 국내 증권사와 민간연구소 등은 미국의 정부부채 위기를 계기로 달러화 신뢰도가 빠르게 하락해 올해 안에 원ㆍ달러 환율이 달러당 1,000원선 아래로 내려올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정부도 물가 불안을 이유로 환율 하락을 사실상 용인하고 있어 연내 1000원선 붕괴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환율 1,000원선이 무너지면 2008년 4월 28일 999.6원(종가) 이후 처음이 된다. 또 하반기 환율은 2005∼2006년 수준으로 되돌아 가게 된다.

종가를 평균한 환율은 ▲2004년 1,143.74원 ▲2005년 1,024.13원 ▲2006년 955.08원 ▲2007년 919.16원 ▲2008년 1,103.36원 ▲2009년 1,276.35원 ▲2010년 1,156.00원 등이었다.

노무라증권은 원ㆍ달러 환율이 올해 3분기 1,040원, 4분기 1.020원, 내년 1분기 1,000원, 2분기 990원, 3분기 975원 등으로 급격히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증권사는 내년도 평균 환율이 960원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지난 2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환율은 1054.50원으로 거래를 마쳐, 지난 3월말 1100선이 무너진 이후 이제 1000원 붕괴까지도 55원이 채 남지 않게 되었다.

2008년 이후 전 세계 경제 위기 등으로 1000원을 돌파, 한 때 1500원대까지 치솟았던 환율이 이제 3년 만에 다시 1000원 시대에 접어들 전망이다.

원화절상에 대한 기대감 등에 따라 외국인들의 채권 보유 잔액은 이달말에 86조원을 돌파,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우증권에 따르면 이달말 외국인들이 보유한 상장ㆍ비상장 채권액은 86조원을 넘어서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환율 900원 시대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환율 1,000원선 붕괴는 대형 수출기업들의 채산성을 악화시키고 중소 수출기업들을 한계상황으로 몰아갈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지난 5월 전경련이 국내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환율 10% 하락시 기업들의 영업이익률은 평균 1.2%p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