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삼성, IMK 지분 매각... "MRO사업 완전 손뗀다"

[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삼성이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MRO) 사업에서 완전히 철수한다.

삼성은 삼성전자 등 9개 계열사가 보유한 MRO 자회사인 아이마켓코리아(IMK)의 지분 58.7%를 매각하기로 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 5월25일 대기업의 MRO 사업이 중소기업의 영역을 침범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자, IMK의 사업 범위를 계열사와 1차 협력사의 물량 이외에 신규 영업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지 불과 두 달 만에 이 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뗀 것이다. 삼성은 중소기업의 사업 영역을 침범한다는 비판을 받아들여 몸을 최대한 수그렸지만, 오히려 편법적인 부의 대물림 창구라는 식으로 비난이 더욱 거세지자 아예 손을 떼는 초강수를 두었다.

이인용 미래전략실 커뮤니케이션 부사장은 이날 서울 서초동 삼성사옥에서 기자들과 만나 "삼성이 MRO 사업에서 철수하기로 하고 삼성전자 등 9개 계열사가 보유한 지분 58.7%를 처분하기로 했다. 이는 중소기업과 동반성장 및 상생협력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비핵심사업 철수를 통한 경쟁력 강화 차원"이라고 밝혔다.

대기업이 MRO 사업에서 손을 완전히 떼기로 한 것은 삼성이 처음으로, 이번 결정이 다른 대기업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지난 5월에도 삼성의 영업 제한을 시작으로 LG서브원 등 다른 기업이 줄줄이 비슷한 대책을 내놓은 만큼, MRO 사업에 뛰어든 대기업들이 어느 정도 부담을 느끼는 것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IMK의 지분은 삼성전자·삼성물산 각 10.6%, 삼성전기 10%, 삼성중공업 7.2%, 삼성SDI 5.5%, 삼성엔지니어링 5.3%, 삼성코닝정밀소재 3.9%. 삼성에버랜드 및 제일모직 각 2.8%다. 또한 IMK의 지난해 매출은 1조5천억원 안팎이며, 시가총액은 이날 기준 9천400억원이다.

한편, IMK의 시가 총액을 감안했을 때 매각대금이 최소 5천억원은 될 것으로 보여, 중소기업 가운데 IMK를 매각할 수 있는 기업이 있겠느냐는 의문도 있어 향후 매각 절차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또 한편에서는 삼성이 MRO에서 자발적으로 물러나는 모양새를 갖추긴 했지만, 그 이면에는 지난 5월 발표한 1차 대책에 만족하지 못한 정부 및 중소기업계에 대한 고강도 압박이 깔린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