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상장사의 절반 이상이 분기보고서에서 종속회사의 연혁을 빠뜨리고, 요약정보를 기재하지 않는 등 분기보고서를 매우 부실하게 작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금융감독원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 적용 1분기 보고서 제출대상법인 122개사의 비재무사항을 점검한 결과, 5개사는 연결기준으로 작성조차 하지 않았고, 작성한 기업도 상당수가 기재가 불충분했다고 밝혔다.
기재가 불충한 기업의 경우, 연결기준 공시 대상인 회사의 개요 부문에서 상장사의 56.6%가 종속회사의 연혁을 빠뜨린 채 지배회사의 연혁만 소개했고, 66.4%는 연결실체의 요약정보를 기재하지 않고 단순히 이미 공시된 정기보고서를 참조하라고 했다.
사업의 내용에서 23.8%는 단순히 종속회사별 사업 내용만 나열했다.
종속회사의 우발채무와 제재현황을 기재하지 않은 상장사도 전체의 각각 30.7%, 17.9%가 있었으며, 21.4%는 결산기 이후 종속회사에서 발생한 주요사항을 기재하지 않았다.
금감원은 또한 연결기준으로 작성하지 않은 5개사에 대해서는 정정공시를 요구했으며, 8월29일까지 제출 예정인 반기보고서에서 이들 비재무사항의 연결 기재를 일제히 점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