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국내 상장기업의 86%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사회적 책임 취약등급'에 해당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세계적으로 기업의 윤리경영, 친환경경영, 사회공헌활동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을 국내 기업들은 전혀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에 의하면, 사회적 책임 다하는 `A+' 등급 기업은 SK텔레콤, KB금융, 포스코, 하이닉스 등 단 4곳에 불과했고, `B+' 등급 이상 기업은 전체 14%에 불과, 심각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식 부재를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은 올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668곳을 대상으로 한 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ESG) 등 종합평가에서 86%인 575개 기업에 5등급 중 4등급 이하인 `B(취약)'와 `C(매우 취약)' 등급을 부여했다고 3일 밝혔다.
B등급은 전반적으로 기업의 지배구조, 사회, 환경 분야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취약해 각 부분에서 개선이 부분적으로 필요하고, C등급은 이런 개선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업이다.
반면에 이런 활동이 가장 우수한 `A+' 등급 기업은 SK텔레콤, KB금융, 포스코, 하이닉스 등 4곳(0.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준의 A등급 기업도 40곳(6.0%)에 그쳤다. 사회적 책임 활동이 보통 수준인 `B+' 등급기업도 48곳(7.2%)에 그쳤다.
특히 국내 기업들은 지배구조 부문보다 사회, 환경 부문에 대한 책임 의식이 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배구조 부문에서 B등급 이하 기업은 515곳으로 전체의 77.1%였지만 사회 부문은 558곳으로 83.5%, 환경 부문은 87.4%에 달했다.
사회 부문은 근로자 고용조건, 노사관계, 협력사와의 공정거래, 소비자 안전 등을 평가하고 환경 부문은 최고경영자의 친환경경영 의지, 환경경영 계획 수립 여부 등을 평가한다.
경제개혁연대 김상조 소장은 "기업들이 이제 지속 가능한 성장이 아니면 안 된다는 인식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런 환경을 만들기 위해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시민사회도 정부와 기업에 이런 노력을 촉구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