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우리나라 대학생 약 5만명이 대부업체에 800억원가량의 빚을 진 것으로 나타나, 졸업도 하기 전에 빚에 허덕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려운 경기로 인해 대학생 대출이 1년 사이에 40% 넘게 증가했고, 연체율은 12%에서 15%로 올라 전체 대부업체 대출 연체율의 2배를 웃돌았다. 대출은 받지만 연 40%에 달하는 고가의 이자율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하고 갚아야 할 대출금이 더 뿔어나는 악순환에 빠진 것이다.
금융감독원은 대부업체 40곳의 대학생 대출 실태를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 6월 말 현재 4만7천945명의 대출 잔액이 794억6천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전수조사 대상에 오른 업체는 개인 신용대출을 주력으로 하는 곳으로, 전체 대부업체 신용대출 시장의 80~90%를 차지하고 있다.
대부업체의 대학생 대출은 지난해 6월 말 3만494명에 565억8천원과 비교할 때 인원은 57.2%, 금액은 40.4% 증가한 수치다.
이 가운데 원리금을 제때 갚지 못해 연체된 대출금은 118억1천만원으로, 1년 전보다 무려 77.5% 늘었다.
연체금액을 대출잔액으로 나눈 연체율의 경우 1년 새 11.8%에서 14.9%로 3.1%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말 기준 대부업체 전체 연체율 7.2%의 2배를 넘는 수준이다.
금감원 서민금융지원실 양일남 팀장은 "일정한 소득이 없는 대학생에게는 보통 법정 상한선의 금리가 적용돼 학생들이 연 40%대의 고금리에 시달리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부업체를 이용한 이들 대학생에 대해 정부가 지원하는 한국장학재단의 연 4.9%의 저금리 학자금대출로 유도할 방침"이라며, "이를 위해 대부업체들이 이메일과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등으로 대학생 대출자에게 저금리 대출 전환 방법을 안내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대학생 대상 대출을 자제하고 돈을 갚지 못한다는 이유로 부모 등 제3자의 대위변제(다른 사람이 빚을 대신 갚아주는 것)를 강요하지 말도록 대부업체 240곳에 지도공문을 발송했다.
금감원은 또 대학생 대출을 취급할 때는 보호자가 지급보증하는 등 보증인을 세워 무분별한 대출이 이뤄지지 않도록 지도했다.
양 팀장은 "하반기 대부업체 검사에서 대학생 대출의 적정성과 불법 채권추심 여부 등을 중점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제3자 대위변제 요구 등 불법 채권추심 행위는 금감원 서민금융종합지원센터(☎1332), 관할 지자체와 경찰서, 대부금융협회(☎02-3487-5800)로 신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