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기획재정부는 현재의 경제상황에 대해 고용과 경기회복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물가는 4%대의 높은 상승률이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재정부는 4일 펴낸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8월호에서 전반적인 경기상황이 좋아지고 있다며 "지난 6월 고용시장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크게 늘고 고용률과 실업률이 전년 동월 대비 개선됐고, 6월 경기동행지수와 경기선행지수 모두 2개월 연속 상승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7월 소비자물가는 집중호우와 정유사 공급가 환원 등으로 농산물과 석유제품 가격이 오르면서 전달보다 상승률이 확대됐다"고 지적했다. "근원물가도 가공식품과 외식비 등의 강세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집중호우와 추석 등에 따른 단기적 물가불안 소지에 적극 대응하는 한편, 물가안정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적 대책을 병행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실물경제의 대표적 지표인 광공업생산은 생산차질을 빚었던 업종이 정상조업을 재개하면서 6월중 전월대비 0.7% 증가했다. 재정부는 "수출이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대외여건이 크게 악화되지 않는다면 증가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다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기선행지수가 하락하는 등 주요국 경기회복이 둔화할 소지도 있으므로 추이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재정부는 또 서비스업 생산은 민간소비의 점진적인 개선에 따라 상승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으며, 7월 경상수지는 휴가철 해외여행 증가로 서비스수지 적자가 늘겠지만 전체 흑자규모는 6월보다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민간소비와 관련해서는 "향후 소매판매는 고용회복 등에 따른 소비여력 증대와 양호한 속보지표 동향 등을 감안할 때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라면서 "취업자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어 소비 여력이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재정부는 "최근 국제유가의 안정세, 유럽 재정위기 우려 완화 등으로 글로벌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됐지만 여전히 불안 요인으로 남아있어 향후 (이런 요인이) 재부각하면 소비심리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재정부는 거시정책 방향으로 "고유가와 주요국 경기둔화, 유럽 재정위기 확산 소지 등 대외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므로 경제여건 변화를 면밀히 점검하고, 내수기반 확충과 경제체질 개선 등 지속성장과 고용창출을 위한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