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낙농농가와 우유업체 간 원유(原乳) 가격인상 협상이 10일에도 결렬된 가운데, 내일 최종담판이 이루어진다.
양측은 지난 9일 오후 5시부터 최종협상에 돌입했다. 하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협상 마감시한인 10일 0시가 되자 양측은 4시까지를 마지노선으로 하고 다시 협상에 들어갔다. 하지만 양측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자 정부가 중재에 나서 낙농농가가 주장한 ℓ당 173원 인상안과 우유업체들의 ℓ당 81원 인상안을 절충한 ℓ당 130원 인상을 중재안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낙농농가와 우유업체 모두 내부에서 수용 여부를 놓고 의견이 엇갈려 협상이 더욱 난항에 겪었다. 협상보다는 내부 의견 수렴에 더 많은 시간이 드는 등, 협상이 지지부진해졌다.
결국 두 차례 시한을 연장하고 몇 차례 결렬 위기를 넘기면서 10일 오후 6시30분께까지 무려 25시간 30분동안 마라톤협상이 이루어졌지만, 협상은 타결에 이르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낙농농가와 우유업체들은 협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내부 의견을 정리해 11일 오후 2시 협상을 재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11일 오후 협상이 원유 가격 인상 결정을 위한 최종담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풍 낙농진흥회 회장은 "정부가 원유 기본가격 130원 인상, 체세포 2등급 원유 인센티브 지급액을 현행 23.69원에서 47원을 상향조정하는 중재안을 냈지만 (양측이 내부적으로) 좀 더 심도 있는 논의를 하고 결정을 하기 위해 내일 오후 2시에 협상을 재개키로 했다"고 밝혔다.
한편, 낙농농가들의 단체인 낙농육우협회는 합의가 늦어지자 이날 오전부터 당초 밝힌 대로 원유 공급을 중단하는 `실력행사'에 들어갔다.
낙농육우협회 지도부는 이날 낮 여의도 농성장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생존권을 걸고 무기한 납유거부 및 원유 폐기투쟁에 돌입할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
낙농농가들은 협상이 타결되는 대로 원유공급을 재개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타결되지 않을 경우 계속해서 우유 공급이 증단돼 우유대란이 일어날 수도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