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농사로도 고수익 가능하죠"

[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같은 작물을 같은 면적에 재배해도 농가의 재배기술과 경영능력에 따라 소득은 최소 2.4배에서 최대 9.5배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가에서 재배기술과 경영능력 등을 높이면 충분히 고소득을 올릴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농촌진흥청은 2010년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58작목, 4천273농가를 대상으로 2010년에 생산된 13개 주요 농작물의 상ㆍ하위 20% 농가를 대상으로 소득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고구마는 10a당 상위 20%와 하위 20% 간 소득격차가 무려 9.5배로 가장 컸다. 하위 20%인 농가는 24만5,000원을 버는데 반해 상위 20%는 232만3,000원의 소득을 벌어들였다. 그 다음으로 시설호박 6.5배, 복숭아 5.4배, 사과와 가을배추 각 5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노지포도는 2.4배로 소득격차가 가장 적었다. 하위 20%가 173만7,000원인데 반해 상위 20%는 420만3,000원의 소득을 나타냈다. 그 다음으로는 수박(반촉성) 2.9배, 배 3.2배, 달기 3.4배, 오이(반촉성) 3.5배 등으로 분석됐다.

단위면적당 소득이 가장 높은 영농규모는 오이 반촉성, 시설호박, 딸기 촉성은 0.6ha, 봄감자는 1.3ha, 수박 반촉성은 1.4ha, 복숭아는 2ha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농진청 관계자는 "자본과 노동을 집약적으로 이용하는 시설채소는 소규모 경영이, 노동력이 비교적 적게 드는 노지작물(봄감자 등)은 규모화된 경영이 각각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또 10a당 1천만원 이상 고소득 작목은 오이(촉성재배) 1천674만원, 시설착색 단고추 1천531만원, 시설감귤 1천296만원, 시설고추 1천81만원, 시설장미 1천23만원 등이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 "자본과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고 높은 재배기술이 필요한 시설재배 작목이 단위면적당 소득도 높았다"고 분석했다.

농진청은 2010년도 농산물 소득조사 결과를 농업경영정보시스템(amis.rda.go.kr)에 올려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