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광교신도시 입주민 "신분당선 제2미금역 설치 안 돼"

[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신분당선 연장선(정자-광교)의 미금정차역 추가 설치를 놓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경기도 광교신도시 입주민총연합회는 17일 "성남시가 추진하는 신분당선 연장선 제2미금역 설치계획은 정치적 포퓰리즘"이라며 노선변경 불가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연합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신분당선 연장선 사업은 광교신도시 입주민들이 비용의 3분지 1을 지불해 건설하는 노선으로, 입주민들에게 경제적 보상권이 최우선으로 보장돼야 한다"며 "경기도지사, 수원시장, 용인시장, 경기도시공사장 등은 당초 원안 노선을 지킬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회는 "입주민들의 정당한 권리가 침해될 경우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국토부 등은 제2미금역 설치를 위한 공청회 등을 당장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광교신도시 입주민들은 신분당선 연장선 건설과 관련, 전체 사업비 1조5천억원의 33%인 4천519억원을 부담한다.

'제2미금역'과 관련된 논란은 성남시가 미금역 승객 분산을 위해 ‘제2 미금역’ 신설을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또한 성남시는 ‘제2 미금역’ 신설안이 수용되지 않으면 연장선 공사와 관련된 인ㆍ허가 금지 및 45억원 규모의 광역교통부담금도 지급을 보류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지난 5월에는 환기구 설치를 위한 공원점용 허가를 취소하고 공공지장물 이설 협의를 중단, 공사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제2미금역' 설치와 관련해 성남시는 "미금역을 설치해도 운행시간이 크게 지연되지 않으며 정자역과 미금역 일대 교통 혼잡을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경기철도㈜ 김재규 사장은 "내년까지 성남시가 미금역사 허가를 안 해주면 2016년 완공이 불투명하다"고 밝혔고, 국토해양부 장영수 철도정책과장도 "성남시가 환기구 설치와 관련한 인허가를 내주지 않으면 공사진행이 어렵다"고 말했다.

광교신도시의 입주민들은 현재 미금역이 있는 상태에서 제2미금역이 설치되면 두 역간 거리가 1.8~1.9㎞로 벌어져 같은 신분당선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한 번 더 환승을 해야 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 된다. 이로 인해 광교신도시 입주민들과 수원시는 "성남에 역이 추가로 설치되면 운행속도가 떨어져 피해를 입게 된다, 기존보다 시간이 더 걸린다"는 등의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특히 입주민들이 사업비의 1/3이나 부담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피해를 입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신분당선 연장구간 전철건설사업은 성남시 정자역과 광교신도시를 6개 역사로 연결하는 사업으로 오는 2016년 2월 개통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