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적투자소득지급이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금융위기 이후 기업 이익이 늘어나면서 배당금이 늘어난 것도 이유로 분석됐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투자소득지급액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6.6% 오른 83억3천270만달러로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80년 이후 두 번째로 높았다.
투자소득지급액이란 한국에 머문 기간이 6개월 미만인 비거주자가 국내에 직접투자, 증권투자 및 기타투자를 통해 얻은 이자와 배당금 등을 의미한다.
상반기 기준 투자소득지급액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사상 최고치인 106억6천520만달러를 기록한 이후 2009년 2분기 65억3천260만달러로 절반가까이 떨어졌으나 2010년 77억8천620만달러, 2011년 83억3천270만달러로 다시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투자소득지급액이 늘어난 것은 외국인에게 돌아간 배당금이 꾸준히 늘어났기 때문이다.
투자소득 배당지급액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지난해 1분기 11.7%, 2분기 37.5%, 3분기 21.6%, 4분기 131.2%, 올해 1분기 26.3%, 2분기 4.9% 등 2009년 4분기부터 2년 가까이 계속해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에 투자소득 이자지급액은 지난해 1분기 -9.4%, 2분기 30.7%, 3분기 -0.8%, 4분기 -9.2%, 올해 1분기 -11.9%, 2분기 14.0% 등 등락을 반복했다.
외국인 투자소득이 크게 늘어난 것은 올해 상반기 외국인이 국내 직접투자를 통해 얻은 수익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도 한몫했다.
직접투자소득지급액은 37억6천430만달러로 상반기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증권투자소득지급액은 35억7천360만달러로 2008년 44억3천590만달러 이후 3년만에 가장 많았다.
반면 기타투자소득지급액은 9억9천480만달러로 지난해보다는 소폭 늘었으나 2009년 17억6천540만달러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한은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뚝 떨어졌던 기업 이익이 점차 늘고 배당 여력이 커지면서 외국인에게 돌아가는 배당 수익도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