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올해 들어 에너지 공기업들의 경영실적과 재무구조가 크게 나빠지고 있다.
원료 가격은 치솟은 반면 전기·가스 요금은 동결되거나 소폭 오르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물가안정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에너지 공기업의 요금 인상을 계속해서 억제하고 있는 상황이라 이러한 상황이 쉽게 개선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의 2분기 매출액은 9조1천16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6% 늘었지만, 8천35억원의 영업손실(연결재무제표 기준)을 기록, 작년 같은 기간보다 손실 폭이 81.1%나 확대됐다.
상반기 전체로 보면, 매출액이 19조9천158억 원으로 전년 대비 50.5% 증가했지만 영업적자는 무려 1조3천42억 원이었다.
이렇게 적자가 계속되면서 부채총액도 작년 말 72조2천413억 원에서 올해 6월 말 현재 76조527억 원으로 늘어 부채비율이 126.1%에서 137.5%로 높아졌다.
한전은 계속되는 적자로 인해 피해를 본 소액주주들로부터 김쌍수 사장이 고소를 당하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한국지역난방공사도 2분기 매출액이 3천388억9천만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4.9% 늘었지만, 101억7천만원의 영업 손실을 냈다. 원가 상승분을 요금에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결과, 2분기 영업실적이 적자로 돌아섰다.
부채총액도 6월 말 현재 2조6천40억원에 달해 부채비율이 작년 말 173.2%에서 183.3%로 높아졌다. 부채비율은 한전보다 더 높은 수준이다.
한국가스공사는 2분기 매출액이 5조8천67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7%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천302억 원으로 14.2% 줄었다.
특히 원료비 상승분을 요금에 반영하지 못해 발생하는 미수금 잔고가 1분기 말 3조8천억 원에서 2분기 말 4조원대로 불었다.
하지만 이런 가운데서도 정부는 물가안정 차원에서 이들 에너지공기업들의 요금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거나 동결하고 있어 앞으로 경영실적과 재무구조는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