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8월 물가상승률이 5%선을 넘어선 가운데, 하반기 들어 공공요금마저도 속속 인상되며 소비자 물가에 더 큰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 공공서비스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7월 1.5%로 올해 들어 최고치를 기록한 데 이어 8월에도 1.4%를 나타냈다.
전기요금은 정부의 전기요금 조정에 따라 지난해 같은 달보다 2.0% 올랐다.
시내버스료는 7월에 작년 동월 대비 5.4% 상승한 데 이어 8월에도 5.6% 올라 5%대 상승률을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다.
전철요금도 7월과 8월 작년 동월 대비 각각 0.3%의 상승률을 보였다.
도시가스는 작년 동월 대비 5월 10.3%, 6월 10.4%, 7월 10.3%, 8월 10.4%의 높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하수도료는 7월과 8월에 작년 동월 대비 각각 4.7% 올라 2008년 말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상수도료는 하반기 들어 7월 1.7%, 8월 2.1% 등 상승 추세를 보였다.
문제는 공공요금은 단일 품목으로 가중치가 크기에 전체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그만큼 크다는 것이다. 전체 소비자물가가 1천이라고 할 때 전기료의 가중치는 19, 도시가스 16.1, 시내버스료는 11.4로 모두 상위 20위권에 든다. 특히 전기료보다 가중치가 큰 품목은 전세(66.4), 이동전화통화료(33.8), 휘발유(31.2), 월세(31.1)뿐이다.
또, 전기료를 비롯한 공공요금은 산업활동의 기초 비용으로, 이런 공공요금 인상은 제조원가 상승으로 이어져 다른 상품의 가격 인상을 유발하게 된다.
정부는 지금까지 물가안정을 위해 수년 이상 공공요금의 인상을 최대한 억제해왔다. 그러나 원자재 값의 상승으로 인한 공기업과 지자체의 경영 악화가 심각한 수준에 달해 요금을 인상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됐다. 후반기에도 지하철, 시내버스, 상하수도 요금 등이 줄줄이 인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로 인해 공공요금의 인상으로 인한 후반기 물가상승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공공요금 인상이 올해 물가 상승에 끼친 기여도는 크지 않다"면서 "공기업에 원가보상의 기회를 주면서도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공공요금 인상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