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국민이 쓸 수 있는 소득 중 가계대출 비중 70% 육박… 사상 `최대'

[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지난 1년간 우리 국민이 실제로 쓸 수 있는 소득에서 가계 대출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육박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가계의 빚 갚을 능력이 악화일로는 걷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글로벌 재정위기의 여파로 국내경제가 둔화할 경우, 가계부채의 부실화가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을 포함하는 가계대출 잔액은 826조원으로 해당 분기를 포함하는 직전 1년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원계열) 1천204조6천억원의 68.6%를 차지했다. 이는 매년 상반기 말 기준으로 따졌을 때,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7년 이후 최대다.

상반기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같은 기간 가계대출 증가분이 차지하는 비중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국민총처분가능소득(595조3천억원) 대비 가계대출 증가분(28조5천억원)은 비중은 4.8%로 전년(3.9%)보다 0.9%포인트 증가했다.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가계대출이 늘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그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된다는 것은 그만큼 가계의 빚 갚을 능력이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11일 한은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공동 발표한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총부채 비중은 지난해 151.6%에서 올해 158.5%로 확대됐다. 또 조사 가구 가운데 74.2%가 원리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더욱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재정위기의 여파로 내년 우리나라 경제가 3%대 성장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어 소득이 늘어날 유인이 많지 않은 상황인 만큼 향후 가계의 부채 부담은 급격히 불어날 수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박덕배 연구위원은 "향후 가계의 빚 부담이 늘어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면서 "더욱이 대내외 경제여건이 불안한 상황에서 금융기관으로부터 상환압력이 들어온다면 과다부채 가구를 중심으로 가계가 쓰러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국민총처분가능소득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란 국민총소득(GNI)에서 해외로 무상 송금한 금액을 제외하고 무상으로 받은 금액을 더해 실제로 국민이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GNI는 국내 부가가치 생산량인 명목 국내총생산(GDP)에 해외 이자ㆍ배당ㆍ근로소득 등 국외 순수취요소소득을 가감해 산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