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빚'에 허덕이는 수도권 거주자… 비싼 집값이 원인

[재경일보 조동일 기자] 수도권 거주자들이 빚에 허덕이고 있어 삶의 무게가 갈수록 더해지고 있다. 지방보다 소득은 조금 많은데 반해 빚은 엄청 나게 많아 빚을 갚느라 허리가 휠 지경이다. 지방보다 비싼 집값으로 인해 주택대출을 두 배 이상으로 많이 받고 있는 것이 원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불황이 오면 타격이 클 수 밖에 없어 부채 리모델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4일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공동으로 수행한 '2011년 가계금융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거주자의 연간 경상소득은 평균 4천349만원으로 비수도권 거주자(3천701만원)보다 17.5% 많았다. 그리고 경상소득에서 세금, 연금, 이자 등을 제외한 가처분소득은 3천485만원으로 비수도권(3천96만원)원보다 고작 12.6% 많았다. 소득이 지방에 비해서 많기는 하지만, 그렇게 많은 것도 아니다.

반면에 수도권 거주자의 부채는 7천336만원으로 비수도권 거주자(3천241만원)보다 126.3%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에서 임대보증금 등을 제외한 순수 금융대출도 4천848만원에 달해 비수도권(2천433만원)의 두배에 달했다.

수도권과 지방의 소득 차이는 얼마 나지 않는데, 부채 규모는 2배 이상 나고 있는 것이다.

수도권 거주자의 열악한 경제 상황과 삶의 처지는 소득이나 부채 증가율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지난해와 비교한 올해 경상소득의 증가율은 수도권 거주자(4.5%)가 비수도권 거주자(7.9%)보다 훨씬 낮았다. 반면 금융대출은 수도권 거주자가 15.7%나 늘어난 데 비해 비수도권 거주자는 9.4%밖에 늘지 않았다. 지금의 추세라면 앞으로 소득은 비슷해지고, 부채 규모는 점점 벌어지는 상황이 벌어질 수밖에 없다.

빚이 계속해서 늘어나면서 수도권 거주자의 재무건전성이 `위험수위'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악화되고 있다. 올해 수도권 거주자의 작년 대비 금융대출 증가율은 15.7%에 달해 소득 증가율(4.5%)의 세배를 넘는다. 그 결과 대출 원리금 상환액이 727만원으로 지난해보다 24.5%나 급증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 거주자의 가처분소득 가운데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무려 20.9%에 달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터지기 직전인 2007년 미국에서 이 비율이 18.6%였다는 점에 비춰보면 수도권 거주자의 재무건전성이 얼마나 악화했는지 알 수 있다.

수도권 거주자가 지방 거주자들보다 빚이 많고, 재무건전성이 위기에 빠지게 된 원인은 비싼 집값이다. 그만큼 수도권 거주자들은 고액의 주택대출을 받을 수 밖에 없고, 갚아야 할 대출 원금과 매달 이자도 많을 수밖에 없다.

실제로 주택대출이 대부분인 담보대출의 경우, 수도권 거주자가 3천993만원으로 비수도권(1천796만원)의 두배가 훨씬 넘는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이 비싸기 때문에 고액의 주택대출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반면 신용대출은 수도권 거주자가 719만원, 비수도권 거주자가 539만원으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국민은행 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10월 기준 서울 강북의 아파트 매매가는 평균 4억1천만원이며, 강남은 무려 6억5천만원에 달한다. 또 수도권인 경기지역은 2억9천만원가량이다. 반면 지방 아파트 가격은 평균 1억4천만원으로 경기지역의 절반도 되지 않으며, 강북의 1/3, 강남의 1/5 수준이다.

삼성경제연구소의 정영식 수석연구원은 "소득에 비해 과도한 부채를 지게 되면 불황이 닥쳐 소득이 줄거나 집값이 지속적으로 하락할 때 큰 타격을 받게 된다"며 "수도권 거주자의 경우 이러한 경향이 강해 한시라도 빨리 `부채 리모델링'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Stat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