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靑, 사회불안 최소화 주력

[재경일보 박성민 기자] 청와대는 19일 낮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즉시 '비상체제'로 전환했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사망에 따라 북한의 대남 도발 가능성 등에 대비하면서도 사회 동요를 막기 위해 즉각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소집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이 대통령은 김황식 국무총리와 김성환 외교통상, 류우익 통일, 김관진 국방, 맹형규 행정안전 장관과 원세훈 국정원장, 하금열 대통령실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방에서 올라오는 북한군의 움직임에 대한 보고를 실시간으로 받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정확한 상황 파악을 위해 미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국과도 정보를 교류하는 데 주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회의에서는 김 위원장 사망 후 권력체제 개편 방향과 이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책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던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또 지난 1994년 7월 북한 김일성 국가주석이 사망했을 당시 상황과 비교해 예상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꼼꼼히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은 군과 경찰, 공무원 등에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면서도 민간에 불필요한 불안감이 번지지 않도록 위기 상황 매뉴얼에 따른 경계 근무에 만전을 기하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군은 비상경계태세 2급을 즉각 발령해 전방 지역의 북한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외교통상부 역시 전 재외공관에 대해 비상대기 체제에 돌입하도록 긴급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또 공무원에는 행정안전부를 통해 비상근무령을 발령했다. 이에 따라 정부 주요 시설물에 대한 보안 검색 수준을 높이는 등 경계ㆍ경비를 강화하고, 휴가나 출장은 물론 무단 이석, 외출도 자제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