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시내 기자] 내년부터 매년 2회에 걸쳐 모든 초·중·고등학교에서 학교폭력 피해실태에 대해 조사가 이뤄진다.
학교폭력 예방 및 상담 등을 위해 학교폭력 전문상담사 1천800명도 일선 학교에 배치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최근 대구의 한 중학생이 친구들의 계속된 괴롭힘을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과 관련해 이런 내용의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보호 정책을 내년부터 추진하기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교과부는 먼저 2차 보복피해 우려 때문에 학교폭력 신고를 기피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피해 학생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매년 3월과 9월에 모든 초중고에서 학교폭력 피해실태를 조사하는 방안을 시도 교육청과 협의해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학생들이 학교폭력을 당하고도 보복에 대한 우려로 학교에 신고를 꺼리는 경향을 고려해 교육지원청 단위로 설치된 전국 126개 Wee(학교부적응 학생 지원) 센터를 `학교폭력 신고센터'로 추가로 지정해 전담상담사를 배치한다.
또 학생 상담 강화를 위해 학교폭력 전문상담사 1천800명을 일선 학교에 배치하고 계속해서 점차 수를 늘릴 방침이며, 공익근무요원을 학교 안전보호 보조인력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시도 교육청별로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 1월까지 `따돌림 예방 및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해 1학기부터 교육에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최근 개발한 `굿바이 학교폭력'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학교에서 널리 활용되도록 하고, 학교폭력 예방ㆍ대처 요령을 담은 소책자도 모든 학생에게 배포하기로 했다.
또 교과부는 26~27일 교육청과 각급 학교의 자살위기 관리 및 학생생명존중 교육 담당자(200명)를 대상으로 학생자살 방지 연수를 실시하고 내년에는 전체 교원에 대해 관련 연수를 할 방침이다.
교과부는 26일 오전 서울 정동의 `달개비' 레스토랑에서 이주호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시도 부교육감 회의를 개최해 이 같은 대책을 포함한 학교폭력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앞으로 교과부는 관계 부처 및 16개 시도 교육청과 함께 종합적인 학교폭력 예방 및 자살방지 대책을 마련해 공동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