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독일·프랑스 순방 마친 그리스 총리, 초라한 '빈손' 귀국

[재경일보 이규현 기자] 안토니스 사마라스 그리스 총리가 최대 채권국인 독일과 프랑스를 순방했지만 '그리스의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잔류 지지' 의사와 "약속을 지키라'는 기존 입장만 재확인했을 뿐 구체적인 성과물을 하나 없이 빈손으로 초라하게 귀국하게 됐다.

이제 사마라스 총리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개정 긴축안 확정 등 산적한 현안들이다.

26일(현지시간) 외신 등에 따르면, 사마라스 총리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으로부터 "그리스가 약속을 지킨다면 유로존 잔류를 지지할 것"이라는 원칙만 재확인했다. 이는 구제금융 조건을 이행하지 않으면 유로존 '퇴출'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올랑드 대통령은 "그리스가 수십억 유로의 구제금융 조건을 이행하겠다고 외국 채권단에게 확약해야 한다"고 촉구하면서 "이행 의지를 보여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거듭 역설했다. 아울러 그리스에 대한 추가 지원은 유럽연합(EU)과 유럽중앙은행(ECB), 국제통화기금(IMF) 등 '트로이카'의 실사 보고서 결과에 달렸다는 기존 원칙만 재확인했다.

하지만 그리스가 요구한 구제금융 이행 목표연도 연장 등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그리스의 일간지 카티메리니는 아테네에서 사마라스 총리를 기다리는 것은 한 달 넘게 끄는 115억 유로 규모의 재정 긴축안을 확정하는 것이라고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긴축안에는 공공부문 임금 및 인력 감축, 연금 축소 등 민감한 부문이 들어가 있다. 특히 세입 감소과 사회보장 재정 감소분으로 발생한 20억 유로 규모의 재정 부족분을 채워야 하는 방안도 현안으로 등장했다.

사마라스 총리는 내주에 연립정부 파트너인 사회당과 민주좌파 지도자들을 만나 순방 성과를 설명할 예정인데, 이 자리에서 재정 지출 가운데 2013-2014년에 이행해야 할 총 115억 유로 규모의 긴축안도 논의할 것이라고 카티메리니는 전망했다.

사마라스 총리와 야니스 스투르나라스 재무장관은 긴축안의 세부 항목을 완성해 9월 말이나 늦어도 10월 초 의회로 넘겨 표결에 부칠 것이라고 카티메리니는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