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진수 기자] 2000년대 중반까지 집값 급등을 주도했던 '버블세븐'의 시가총액 비중이 최근 6년새 급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06년 지정된 이른바 '버블세븐'은 집값이 급등한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목동, 분당, 평촌, 용인 등 7개 지역을 말한다.
11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www.serve.co.kr)에 따르면, 서울·경기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303만4279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시가총액에서 버블세븐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6년 5월 43%에서 현재 33%로 10%포인트나 줄어들었다.
강남 3구 시가총액 비중은 강남이 2006년 5월 11%에서 8%, 서초는 7%에서 6%, 송파는 9%에서 6%로 각각 낮아졌다.
같은 기간 분당은 6%에서 4%로, 목동과 평촌 비중은 2%에서 1%로 하락했다.
고가의 중대형 아파트가 밀집한 버블세븐은 2006년만 해도 수도권 아파트시장을 장악하며 집값 급등세를 주도했었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유럽 재정위기가 잇따르면서 수요가 감소하고 부동산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며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
박정욱 선임연구원은 "현재 부동산시장 전망이 불투명한데다 아파트시장을 견인할 요인이 없는 상황이어서 수도권 버블세븐의 영향력 회복도 불투명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