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유혜선 기자] 루이뷔통, 구찌, 샤넬 등 비싼 해외 명품을 구입한 소비자 10명 중 3명은 할부금을 갚는데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해외 수입 명품을 구입한 20세 이상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9.8%가 이같이 응답했다고 29일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명품 구입 계획에 대해서는 84.8%가 "계속 구입할 것"이라고 했다.
최근 2년간 해외 명품을 구매한 횟수에 대해선 52.5%는 '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했고, '줄었다(24.0%)'는 응답과 '늘었다(23.5%)'는 응답은 비슷했다.
대한상의는 "경기침체에도 명품 소비가 위축하지 않는 것은 구입이 이미 일상화한데다 명품을 더욱 수월하게 살 수 있는 쇼핑 환경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명품 구매 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으로 '디자인(36.5%)'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브랜드 명성'(26.3%), '품질'(14.5%), '가격'(13.8%), '희소성'(8.8%)이 뒤를 이었다.
구매 장소는 백화점(40.0%), 공항 면세점(20.5%), 시내 면세점(11.5%), 온라인 면세점(5.5%) 등 순이었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지난해 고가 사치품 시장 규모가 5조원을 넘는 등 국내 명품 시장은 계속해서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대한상의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자신의 소득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유행을 따라 상품을 구입하는 이른바 '밴드왜건' 효과도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