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성민 기자] 수수료 인하, 패널티제도 강화 등을 일방적으로 도입한 것에 대한 불만을 이유로 운송을 거부하고 있는 CJ대한통운 소속 일부 택배기사들이 회사 측에 사태 해결을 위한 교섭을 촉구했다.
CJ대한통운 비상대책위원회는 13일 오전 10시 30분 국회 정론관에서 은수미·장하나 민주당 의원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J대한통운은 비대위가 요구하는 교섭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비대위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통합 전 880~950원이던 수수료가 800~820원으로 강제 인하됐고 무단배송 1만 원, 욕설 10만 원 등 십여 가지가 넘는 패널티와 파손·분실까지 모두 택배 노동자들이 책임지라고 한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CJ대한통운은 택배 노동자들이 저마다 사장, 자영업자, 사업자라고 말하고 있어 배당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우리에게 책임지게 한다"며 "하지만 택배 전 과정에서 CJ대한통운의 지시와 감독을 받고 있는데 책임이 발생할 때만 모두 택배노동자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이어 "'을'인 택배노동자는 '갑'인 CJ대한통운에 어떤 불만을 제기해도 계약해지를 당해야 한다. 5명 이상이 모여 모임을 만들어도 잘릴 각오를 해야 한다"며 "현대판 노예의 삶이 택배 노동자의 삶"이라고 전했다.
또한 이들은 "사측이 회유와 협박을 통해 사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주장했다.
아울러 손실금 보전과 금전적 패널티는 없을 것이라고 밝힌 CJ대한통운의 주장에 대해 "지금도 하루 200여 개 이상을 배송하면 점심 먹을 틈도 없는데 지금보다 더 배송하라는 건 골병들어 죽으라는 것이다"라며 "패널티 제도도 전산상에 그대로 남아있는데 금전적으로 부과하지 않겠다는 것을 누가 믿느냐"고 말했다.
앞서 손관수 대표이사는 대표이사 명의로 전국 택배기사들에게 "새로운 수수료 체계가 도입된 4월부터 오는 6월까지 석달 간 평균 수입이 기존 수수료 체계 때보다 낮으면 그 차익을 배상하겠다", "일방적으로 패널티를 적용한 경우는 없다"는 내용의 문자 메시지를 보낸 바 있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택배 노동자의 현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전국을 돌며 파업을 조직화할 것"이라며 "생존권을 쟁취하는 순간까지 파업을 멈추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비대위는 ▲배송수수료 950원 인상 ▲패널티 제도 폐지 ▲사고처리의 책임전가 금지 등 12개 요구안을 제시하며 회사 측에 교섭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