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정부, KT해킹 본격 조사…개인정보보호TF 발족

(서울=연합뉴스) 최인영 기자 = 방송통신위원회와 미래창조과학부는 7일 KT[030200] 홈페이지 해킹 사건에 관한 조사를 이틀째 진행하고 있다.

방통위와 미래부는 전날 구성한 민관합동조사단을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에 설치한 조사 현장에 파견해 KT의 시스템 접속 기록 등을 조사하고 있다. 조사단은 방통위와 미래부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 등 10명으로 구성됐다.

조사단은 이번 KT 홈페이지 해킹의 원인과 사용된 해킹 도구, 누출된 개인정보 등 사고 경위와 함께 KT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기술적·관리적 조치를 했는지 파악하고 있다.

미래부는 전날 SK텔레콤[017670]과 LG유플러스[032640] 등 다른 통신사업자에 대해서도 KT 해킹에 이용된 취약점이 있는지 긴급 점검했으며, 현재로서는 악용 가능성 있는 유사 취약점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방통위는 KT에 누출된 개인정보 항목, 유출 시점 및 경위, 이용자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조치, 이용자 상담 연락처 등을 우편과 이메일로 통지하도록 했다.

한편 미래부는 전날 개인정보보호 기술 전담팀(TF)을 발족하고, 윤종록 미래부 2차관 주재로 1차 회의를 열었다.

미래부는 KT 해킹 등 최근 잇따라 발생하는 개인정보 유출사건을 자세히 분석해 이달 말까지 근본적인 기술대책을 마련해 범정부 종합대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전날 회의에서는 지능형지속공격(APT) 등 날로 지능화·고도화되는 해킹에 대응하는 방안과 스마트폰 전자금융사기 예방, 보안에 취약한 비표준 기술 중심의 국내 인터넷 이용환경 개선대책 등이 제시됐다.

또 국가 차원에서 개인정보에 대한 기술적 보안 체계를 강화하고,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확대하며, 영세기업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 방안 등이 논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