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경일보 김진규 기자] 서울 강남의 마지막 노른자위 땅인 한국전력 본사 부지의 매각 작업이 가시화됐다.
한전은 올해 안에 매각을 모두 마무리하기로 하고 최고가를 써낸 곳이 부지의 새 주인이 되도록 하는 일반 경쟁입찰 매각 방식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전은 17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서울 삼성동 본사 부지 7만9천342㎡의 매각 방안을 확정했다.
시장 가치를 반영한 최고가 일반 경쟁 방식이 선정됐다. 부지의 미래가치를 토지 가격에 반영하고, 일반 경쟁입찰을 통해 매수자를 정하는 방식이다.
한전 관계자는 "적법성과 수익성, 투명성, 공공성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일반 매각 방안을 택하기로 결정했다"며 "헐값 매각 논란을 해소하고 부채를 감축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라고 소개했다.
한전은 이번 입찰에 개인과 법인, 공동입찰 등의 자격 제한을 두지 않았다. 특혜 시비를 차단하고 입찰 경쟁을 활성화한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구체적인 입찰 참가 자격과 감정평가 결과 등은 입찰 공고와 함께 명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전은 설명했다.
한전은 매각 시한을 당초보다 앞당겼다. 한전은 오는 11월까지 본사를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로 이전할 예정인데, 관계 법령상 '지방 이전 완료일로부터 1년 이내'가 매각 시한이다. 따라서 법이 정한 매각 시한은 내년 11월까지다. 하지만 한전은 올해 안에 매각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한전 관계자는 "공공기관 부채 감축목표를 조기에 달성하자는 정부 방침에 부응하고 서울시 공공개발의 원활한 추진에 기여하기 위해 시기를 앞당겼다"고 한전은 설명했다.
부지의 작년 말 기준 공시지가는 1조4천837억원, 장부가액은 2조73억원이지만 시세는 3조∼4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한전은 부지를 팔아 부채 감축 등에 쓸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