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국제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 클락슨에 따르면 7월 국가별 수주실적은 한국이 33척, 139만9천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로 중국 57척, 122만3천CGT를 앞질렀다.
이런 한국 조선업계의 수주량은 전월(38만8천CGT)에 비해 3.6배나 늘어난 규모다. 월간 시장점유율로도 한국은 42.8%로 중국 37.5%, 일본 3.5%를 제쳤다.
업계 관계자는 "7월에는 빅3 조선소의 대형 선박 수주가 쏟아지면서 수주실적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다만 1∼7월 누적치는 여전히 중국에 크게 뒤쳐진 상태였다.
한국은 206척, 724만5천CGT 로 시장점유율 28.6%를 차지했고, 중국이 582척, 1천136만6천CGT로 44.9%의 시장점유율을 점하고 있다.
수주금액 기준으로도 중국은 208억 달러로 한국(193억 달러)을 약간 앞서 있다.
아울러 3월 이후 이어져 온 전 세계 수주잔량 감소 추세가 5개월만에 멈췄다.
남은 일감을 뜻하는 수주잔량이 다시 늘어난 것은 전세계 조선시장의 호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8월 초 현재 전 세계 조선업계의 수주잔량은 1억1천482만CGT로 전월보다 50만CGT 증가했다.
한국 조선사들의 수주잔량 역시 8월초 현재 3천363만CGT로 전월(3천328만CGT)에 비해 35만CGT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일시적인 현상인지는 다음 달에 다시 확인해야 할 것"이라며 "7월 선가지수가 지난해 6월 바닥을 벗어나 상승을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하락하는 등 혼조 양상을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