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와 구청장협의회에 따르면 올해 복지예산 부족액 1천154억원 중 607억원은 지난달부터 기초노령연금이 기초연금으로 전환된 데 따른 추가 부담분이다.
461억원은 무상보육 예산 부족액, 86억원은 폐렴구균 예방접종 사업비다.
서울시와 구청장협의회는 12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지방재정 현안 해결을 위한 공동성명'에서 재정난을 설명하고 국비 지원 등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협의회는 기초연금 사업으로 발생한 예산 부족분 607억원은 전액 국비로 메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청장협의회장 노현송 강서구청장은 "기초연금은 대통령의 핵심 공약이었으며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전국 만 65세 이상 노인에게 공통적으로 지급하는 국가사무이므로 추가 예산을 자치구에 부담하게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설명했다.
정효성 서울시 행정1부시장도 "국비 지원이 없으면 성동구, 중랑구, 금천구 등 일부 자치구가 당장 다음 달부터 기초연금을 지급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하반기 자치구 재정 위기를 막기 위해 기초연금, 무상보육 등 국가적 복지사업에 대한 올해 시비 부담분을 자치구에 조기 배정했으며, 추가경정 예산 편성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김의승 서울시 행정국장은 "어르신과 아동에 대한 복지가 중단돼선 안 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정부 차원의 근본적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