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사물인터넷이 건설 사고 감시'…SKT·대우건설 무사고 프로젝트

SK텔레콤과 대우건설[047040]은 26일 서울 인근의 위례신도시의 우남역 푸르지오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이런 '스마트 건설' 솔루션을 시연했다.

‘스마트 건설’이란 IoT 네트워크 및 IoT 플랫폼인 씽플러그(ThingPlug)를 기반으로 건설 현장의 구조물에 지능형 CCTV, 가스 센서, 진동 센서, 화재 감지 센서 등을 설치해 사고 발생 시 즉각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솔루션이다. 근로자들에게 출입증이나 손목 밴드형 스마트 태그(Tag)를 착용토록 해 주변 상황과 유기적으로 소통함으로써 다양한 안전 정보를 실시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우선 모든 현장 근로자에게 스마트 태그를 착용토록 해 공사 구역 별 근로자 위치 확인, 비승인자의 위험지역 출입 여부, 비상 시 대피자 확인 등 위치 기반 안전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비상 시 태그에 부착된 버튼으로 위급 상황을 상황실에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가스 누출로 인한 인명사고 가능성이 있는 밀폐 공간 및 지하 공간에는 가스 센서를 설치해 유해 가스 자동 실시간 확인 및 비상 대피 알람이 가능하며, IoT 네트워크 기반 휴대형 가스 측정기로 곳곳의 가스 누출 사고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건설 현장 곳곳에 지능형 영상분석 시스템인 T뷰를 설치해 실시간 침입 감지를 통해 도난을 예방할 수 있다. T뷰는 별도의 저장장치 없이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영상 저장, 분석, 관리가 가능해 비용 절감 및 구축·확장 용이성이 높다. 화재 감시 CCTV를 활용한 불꽃과 연기 감지로 화재에 대한 조기 경보도 가능하다.

기둥 및 가설 지지대에는 무선 진동 센서를 설치해 진동의 변이 정도에 따라 위험 신호를 자동 경고한다. 현재는 근거리 무선통신(SUN) 기반인 진동센서 통신도 향후 IoT망을 기반으로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양사는 2017년부터 대우건설의 국내외 주요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스마트 건설’ 솔루션을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대우건설 안전관리의 세계적인 대표 모델로 육성할 계획이다.